오피니언 사설

[사설] 고부가 의료관광 육성 적극 나서야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지난 2011년 12만여명에서 지난해 약 15만명으로 늘었다. 올해는 20만명을 바라본다. 매년 30% 이상 증가해 10%대인 일반 외래관광객 증가율을 크게 웃돈다. 이들이 2011년 진료비로 쓴 돈만도 1,800억원을 넘고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662만원에 이른다.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해 진료비를 전액 자체 부담하기 때문에 이들이 실제 쓰고 간 진료비는 통계치보다 많을 것이다. 이동ㆍ숙박을 포함한 의료관광 경비는 훨씬 크다. 최근 서울의 일부 병의원에는 춘제(9~15일) 연휴기간 성형시술 등을 받으려는 중국인 의료관광객이 평소의 2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국내외 경기와 일자리 창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의료관광객 증가는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태국(156만명), 인도(73만명), 싱가포르(72만명)와 비교하면 갈 길이 멀다. 정부는 오는 2020년 100만명의 의료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나 지금의 덩어리 규제를 손질하지 않으면 달성이 쉽지 않아 보인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병의원과 의사들의 의료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다. 그러나 의료 서비스는 물론 외국인 환자 유치ㆍ홍보, 연계관광 프로그램과 통역 등 부문에서는 여전히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외국인 의료인력 채용, 비자 발급, 투자유치, 정책자금 등과 관련한 규제도 산적해 있다. 그러다 보니 외국인 의료관광객 가운데 암, 심장ㆍ뇌혈관 질환 등 중증질환으로 입원하거나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는 12%에 그치고 있다. 나머지 88%는 내과, 성형ㆍ피부과, 건강검진센터, 가정의학과, 한방과 등을 찾는다.

의료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창출효과는 제조업의 3.3배에 이른다. 노무현ㆍ이명박 정부가 영리의료법인 허용, 부대ㆍ수익사업 확대 등 규제완화를 통해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하려 했지만 의료계ㆍ시민단체 등의 반발로 번번이 무산됐다. 서비스 산업 육성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금이라도 규제완화와 수출 제조업체 수준의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