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들어 시중은행 中企대출 늘렸다

우리등 7곳 총135조1,030억$작년말보다 8,000억 규모


올 들어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일제히 확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조흥ㆍ외환ㆍ제일 등 7개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모두 135조1,030억원으로 지난해 말의 134조3,064억원에 비해 8,000억원가량 늘었다. 중기 대출에 소극적이던 은행들이 외국계 은행의 국내 소매금융시장 진출로 은행간 일대 격돌이 벌어지자 당초 입장에서 선회, 고객유치 확대 전략을 펴고 있다는 해석이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지난달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기술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해 매출실적이 없는 회사에 기술력만을 보고 10억원을 대출했다. 우리은행은 또 부실 가능성이 큰 중소기업을 상대로 재무상태 등을 점검해주는 ‘프리 워크아웃(Pre-Workout)’ 제도를 지난해 4월부터 실시해오고 있으며 중기 대출의 영업점장 금리 전결한도를 최고 연 0.94%포인트까지 부여, 우수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결과 지난해 말 29조3,219억원에 불과했던 우리은행의 중기 대출은 지난달 말 현재 29조5,000억여원 수준까지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신상훈 행장이 영업전선에 직접 발벗고 나섰다. 신 행장은 올 2월부터 두 달간 안산 시화공단과 인천 남동공단 등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잇따라 방문, 고객기업의 불편사항을 파악했다. 신 행장은 지난달 거래 중소기업 대표들과 함께 일본 중소기업 시찰에 나섰다. 지난달 20일 현재 이 은행의 중기 대출 잔액은 17조3,824억원으로 올 들어 4,300억원가량 늘어났다. 하지만 국민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의 중기 대출 잔액은 5월 말 현재 34조6,017억원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무려 7,822억원이나 감소했다. 이는 국민은행이 중소기업 대출 영업의 초점을 확장보다는 건전성 제고에 맞췄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오용국 국민은행 기업금융그룹 부행장은 최근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대기업 여신은 늘리되 중소기업은 현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라며 “기존 중기 여신 가운데 불량대출 2조5,000억원가량을 털어낸 뒤 연말까지 신규 여신으로 채워넣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올 들어 은행들이 고객확보를 위해 중소기업 대출을 경쟁적으로 확대해왔다”면서도 “건전성 유지 등의 차원에서 조만간 숨 고르기 국면을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