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기계硏, 13일 인터내셔널 KIMM 페스티벌 개최

기계기술의 현재와 미래 집중 조망

한국기계연구원은 오는 13~18일 대전 본원에서 ‘2015 인터내셔널 KIMM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16일에는 기계연의 강점 연구 분야 중 하나인 레이저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연구기관인 독일 프라운호퍼 레이저 기술연구소(ILT)와 공동으로 ‘한-독 레이저 생산제조 국제기술 교류회’를 진행한다. 특히 세계 최대 레이저 생산제조 기업인 독일 트럼프사와 국내 최대 레이저 생산제조 기업인 이오 테크닉스 등 레이저 분야의 최고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들의 참여로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반도체 생산제조에 사용되는 극초단 레이저 공정기술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된다.


17일에는 이번 페스티벌의 본 행사인 ‘2015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가 열린다. 이번 포럼은 제조업 기술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 경험을 공유하고, 혁신과 변화의 관점에서 미래 기계 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관련기사



특히 미국 코네티컷대학 최문영 부총장, 올해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미국 UCLA 기계항공우주공학과 김창진 교수, 미국 UCSD 제이콥스 공과대학의 앨버트 피사노 학장과 금형기술 분야에서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적 히든 챔피언인 일본 야마나카 엔지니어링사의 마사히토 야마나카 사장, 독일의 세계 최고 기계제조사인 티센크루프사의 매티어스 핸젤 부장, 국방 및 함정 설계분야의 세계 최고 기업 미국 얼라이언 사이언스앤테크놀로지사 카니 부사장, 그리고 대만 금속산업연구개발센터 첸친밍 부소장이 참석한다.

임용택 기계연구원장은 “기계기술은 모든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핵심기술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기계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에게 최근 기계기술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을 공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페스티벌 마지막 날인 18일에는 ‘KIMM 기업기술지원 페스티벌’을 개최해 연구원과 산업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이번 행사는 연구현장의 인력, 기술, 장비를 보고 싶어하는 기업들의 바람과 민간수탁사업을 확대해 나가야 하는 연구원의 필요에 기반하여 기업과 연구자들의 소통과 협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연구분야별로 기술설명회, 연구실방문, 기술상담으로 이어지는 기업과 연구자들의 다채로운 만남이 준비돼 있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