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스톡옵션 규제강화" 여론

기업 수익부풀리기 수단악용등 지적미국내 스톡 옵션제도가 도마 위에 올라있다. 경영진이 회사 수익에 신경 쓰게 하고,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도록 하기 위해 회사 주식을 급여의 형태로 주는 이 제도가 엔론 스캔들을 계기로 기업이 수익을 부풀리고 주가를 띄우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26일 뉴욕대에서 가진 연설에서 "스톡 옵션제도가 현행 회계법상 비용으로 처리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왜곡하고 있다"며 회계법의 개정을 역설했다. FRB가 기업 회계를 관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엔론 사태 이후 구성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위원회에 그린스펀 의장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 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FRB 자료에 따르면 지난 95년부터 2000년 사이에 S&P 500 지수 구성 기업의 연평균 수익 신장률은 12% 이지만, 스톡 옵션을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이 비율은 9.4%로 하향조정된다. 또 2000년 한해를 기준으로 할 때 S&P 500 기업의 수익이 13.8% 하락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스톡 옵션 옹호론자들은 기업들이 임원과 직원들에게 자사주를 나눠줄 때 돈이 들지 않기 때문에 비용으로 처리할 수 없다며 회계법 개정을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실리콘 밸리 벤처기업들의 경우 스톡 옵션이 없으면 기업 수익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자금줄이 끊기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스톡옵션을 비용으로 처리하자는 주장은 그린스펀 이외에도 뉴욕 월가의 큰손 워렌 버핏도 지지하고 있고, 엔론처럼 기업이 망해도 경영진들은 거액의 부를 누리는 도덕적인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 90년대에 스톡옵션에 대한 회계기준을 강화하는데 반대했던 기관투자자 협회(CII)도 최근에는 입장을 바꿔 스톡옵션을 임금과 같이 기업 비용으로 처리하는데 동의했다. 지난해 9월 국제회계기준 위원회는 미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이 스톡옵션을 기업 비용으로 처리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기업 활동에 호의적인 부시 행정부는 스톡 옵션을 규제하기를 꺼리고 있지만, 칼 레빈 상원의원(민주)은 스톡옵션을 제한하는 내용의 법안을 상정해놓고 있다. 뉴욕=김인영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