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전자 동영상기술 국제표준 채택/검증 거쳐 99년 확정

◎이미지포착 「SARP」기술 등 3건/MPEG­4회의서 위원회안으로현대전자(대표 정몽헌)의 동영상압축기술이 MPEG­4국제표준으로 채택될 전망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초 스위스 프리버그에서 열린 제41차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동영상전문가그룹 또는 영상압축규격)회의는 현대전자가 제안한 SARP등 차세대동영상압축기술 3건을 MPEG­4 위원회표준안으로 채택했다. 「위원회표준안」은 세계유수의 전자업체들이 제안한 기술 가운데 우수한 핵심기술을 선별, 조합해 완성한 모델을 기술적 검증단계를 거쳐 만든 최종표준안으로 99년 2월 MPEG­4국제표준으로 확정된다. 이로써 현대전자는 차세대 동영상압축규격인 MPEG­4의 핵심기술을 개발·확보한 특허보유업체로 특허료수입은 물론 국내외 유수경쟁사와의 지적재산권협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됐다. 위원회가 표준안으로 채택한 현대전자기술은 전체 동영상 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요소(인물, 물체)를 최적의 틀로 포착하는 모양적응영역분할기술(SARP·Shape Adapted Region Partition)과 영상을 부호화할 때 주변의 영상특성을 파악·예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는 AC/DC부호화기술, 그리고 영상정보의 포분포형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부호화패턴 관련기술 등이다. 현대는 이 SARP기술을 포함해 1백50건의 MPEG­4관련 핵심기술특허를 국내외에 출원했고 MPEG­4 버전2에도 독자적으로 제안한 기술1건등을 제안, 세계적인 업체들과 경합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는 현재 미국내 자회사인 오디움사에서 MPEG칩을 생산하고, 지난 95년 인수한 TV/COM사에서 MPEG기술을 응용한 셋톱박스, 방송통신장비 등을 생산함으로써 원천기술에서 완제품까지 전천후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MPEG­4란 무었인가 자연영상·음향정보 및 합성영상, 음향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차세대국제표준을 말한다. TV·영화등의 데이터를 대화형으로 제공하거나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화면중 특정부분이나 음향등 객체요소를 독립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다시말해 배경을 그대로 둔 채 인물이나 물체를 변형시키는등 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고 영상정보를 압축함으로써 선택한 부분을 더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MPEG­4는 비디오CD에 이용되는 MPEG­1과 고화질TV, 디지털비디오디스크, 디지털위성방송에 이용되는 MPEG­2에 이어 오는 2000년부터 쌍방향 멀티커뮤니케이션, 이동영상전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서비스, 컴퓨터그래픽 등에 폭넓게 이용될 전망이다.<김희중 기자>

관련기사



김희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