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목요일 아침에] 새 대통령 선택의 기준

17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일이 2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누구를 찍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많다. 대통령선거 사상 가장 많은 후보가 나서는 인물 풍년의 선거이어서 선택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지만 너무 많다 보니 더 헷갈린다고 한다. 사람 됨됨이가 괜찮아 보이면 능력이 좀 달리는 것 같고 능력은 뛰어난 것 같은데 도덕적으로 좀 흠결이 있지 않나 하는 의문이 들어 선뜻 마음이 내키지 않는다는 사람들까지 주저하는 이유도 각색이다. 그러나 17대 대통령은 무엇보다 통합의 리더십을 갖춘 사람이 돼야 한다. 당장 급하기로는 어려움에 빠진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하지만 나라의 먼 장래를 위해서는 국민의 마음을 한곳으로 뭉치게 할 수 있는 사람을 골라야 한다. 지구촌에서 우리만큼 비좁은 땅덩어리에서 서로 찢고 까불고 하는 나라와 백성도 없다. 골육상쟁의 국토가 동강이 나 아직도 이산가족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데 그 분단국가로도 모자라 아직도 진보와 보수, 경상도와 전라도, 서울과 지방 등으로, 별의별 이름으로 편이 갈려 전쟁 아닌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모두가 다 서로 편을 갈라 척지게 함으로써 자기 잇속을 챙기려는 정상배들의 탓이 크다. 꿀단지를 안겨준다 해도 정상배 같은 사람을 새 대통령으로 뽑아서는 안된다. 우리 사회는 갈등으로 인해 치르지 않아도 될 비용을 너무 많이 치러왔다. 그래서 새 대통령 선택의 첫째 기준은 ‘통합의 리더십’을 갖춘 사람이 돼야 한다. 새 대통령은 말은 적게 하고 귀는 활짝 열어두는 사람이 돼야 한다. 자신의 생각보다는 국민의 생각과 목소리에 진정으로 귀를 기울일 줄 알아야 한다. 자신이 결코 왕이 아니며 전지전능하지 않다는 겸손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 행동보다 말을 너무 앞세우는 사람은 경계해야 한다. 새 대통령은 일할 때와 놀 때를 가릴 줄 아는 좀 낭만적인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인생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일도 잘한다. 외국 원수처럼 휴가 때 보트도 타고 책도 읽어야 한다. 가끔 방송이나 신문에 나와 정치 얘기보다는 “최근에 제가 이런 책을 읽었는데요. 참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읽어보세요”라고 소개할 줄 아는 사람이었으면 더욱 좋겠다. 그래서 새 대통령은 문화대통령이 돼야 한다. 백범의 말처럼 우리나라를 문화 강국으로 만들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 새 대통령은 치적에 너무 얽매이지 말았으면 한다. 역대 대통령들은 재임기간 중 뭔가 한건 올려야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힌 경우가 많았다. 10년, 20년에 걸쳐 이뤄야 할 일을 자신의 집권기간에 끝내려다 보니 탈이 난 적도 많았다. 새 대통령은 100년대계의 초석을 놓는다는 마음으로 업무를 차근차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새 대통령은 후덕한 사람이어야 한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 했다. 물과 같은 사람이 돼야 한다. 앞이 가로막혀 있으면 돌아서 갈 줄도 알고 때가 아니면 기다릴 줄도 알며 높은 곳과 낮은 곳을 가려 완급을 조절할 줄 아는 물의 지혜를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이길 줄만 알기보다는 좀 질 줄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자기 생각이 아무리 옳다 해도 국민이 싫다고 하면 “제 생각이 좀 짧았습니다. 저는 옳다고 생각했는데 여러분들이 아니라고 하니 그 뜻에 따르겠습니다. 나중에 상황을 봐 그때 다시 논의하겠습니다”라고 한발 물러설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대야(對野)관계에서도 당연히 아량을 베풀 줄 알아야 한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얼굴 시뻘겋게 붉히고 삿대질하며 등 돌리기보다는 야당 대표와 만나 골프도 치고 막걸리 한사발 할 줄 아는 도량이 넓은 사람이 돼야 한다. 다음 정부에서는 대통령 때문에 국민들이 마음 졸이고 노심초사하는 일은 제발 없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등 따습고 배부르게 해주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신간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사람이 새 나라 새 대통령이 돼야 한다. 선택은 앞으로 남은 20일 동안 유권자들이 고민해야 할 몫이다. 새 대통령만은 제발 제대로 뽑아 5년 뒤 물러나는 그에게 험한 소리를 하지 않은 성숙한 국민으로 거듭났으면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