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출항! 한국號 어디로<1-10>] 강소국에게 배운다

‘작지만 강한 국가는 어떻게 탄생할 수 있을까’ 명실공히 세계 최강의 경제 대국인 미국과 1위 자리를 넘보고 있는 중국. 그 틈새에서 영토나 인구 규모도 크지 않고 내세울만한 천연자원도 없는 한국 경제가 살아 남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이언오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 “세계화 흐름 속에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략수단은 공격성과 국가의 ‘매력’을 높이는 방법”이라며 “특히 네덜란드, 아일랜드, 핀란드 등 강소국의 사례를 볼 때 성공 뒤에도 지속적으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국가전략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 균형적 전략
화훼등 전통산업 고부가화 노사정합의로 사회갈등 해소
네덜란드는 지난 80년대 초 대외적으로는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내부적으로는 복지후유증까지 겹치면서 경제위기를 맞았다. 네덜란드가 택한 방법은 기존의 장점을 살리면서 새로운 산업 흐름을 주도하는 ‘균형적 전략’. 전통 산업인 낙농업과 화훼산업을 고부가가치화 시키는 동시에 필립스를 선두로 디지털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했다. 유럽 최고 수준의 항만과 공항시설을 갖추고, 노ㆍ사ㆍ정 3자간의 사회적 합의구조를 통해 사회갈등을 ‘시스템’ 안에서 해결한 것도 외국인 투자자가 볼 땐 매력적인 요소였다. 82년부터 18년간 경제개혁을 거친 결과 네덜란드는 경제적 번영과 사회적 조화를 동시에 달성했고 90년대 들어 유럽의 모범생으로 공히 인정 받을 수 있었다. 아일랜드 - 적극적 개방
선진 외국기업 유치에 사활 美의 對유럽투자 23% 집중
8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아일랜드는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서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아일랜드는 외국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정부의 적극적인 개방정책은 미국 등 세계 유수의 하이테크 기업들을 아일랜드로 끌어들였다. 델, IBM, 매킨토시, 마이크로소프트, 모토로라, 코카콜라 등 유럽시장을 겨냥한 거대 기업들이 아일랜드에 둥지를 틀었다. 미국의 대유럽 투자의 23%가 아일랜드에 집중됐다. 이제 아일랜드는 유럽연합(EU)에 새로 합류하는 동유럽 국가의 부상에 대비한 ‘다음 단계’를 고민하고 있다. 선진기업 유치도 중요하지만 자국의 산업을 육성하고 경제체질을 강화하는 보다 정교한 국가개발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핀란드 - 효율적 교육
산학협력등 실용적 교육정책 정보화사회에 성공적 적응
핀란드의 경쟁력은 효율적인 교육시스템을 통해 정보화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데서 출발했다. 광범위한 의무교육 체계와 직업교육, 산학협력을 독려하는 정부의 실용적인 교육정책은 핀란드의 인재들을 체계적으로 양성했다. 여기에 정부의 강도 높은 개방화 정책이 맞물리면서 정보통신산업은 전통 산업인 목재, 제지산업을 제치고 핀란드의 대표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세계적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한 노키아는 현재 전체 수출의 24%,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책임진다. 또 500대 기업의 3분의 1이 외국인기업 또는 외국인지분 50% 이상의 기업일 정도로 핀란드는 이제 세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나라로 평가 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