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수요관리 위해 비상대책반 계속 가동… 교육기관·지자체와 자율절전 협약도

[겨울 전력대란 막으려면] ■ 정부 대책은


올해 겨울도 강추위가 예고됨에 따라 늦더위로 정전대란을 겪은 정부가 겨울철 전력수급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 2009년부터 연간 최대 전력수요가 여름철에서 겨울철로 바뀐데다 공급능력 확충에 한계가 있어 정부는 제2차 정전 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수요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12일 지식경제부와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겨울은 예년보다 더 쌀쌀할 것으로 예상돼 겨울 전력수급에 더욱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지난 9ㆍ15 정전사태 이후 가동된 비상대책반을 이번 겨울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가동해 비상사태에 대비하고 철저한 수요관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동계 전력 피크에 대비한 에너지 절약이 절실하다는 판단 아래 업종별 단체, 교육기관,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약을 맺고 전년 대비 5% 이상 절전목표를 잡아 실행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는 일본이 올해 초 원전 사고 이후 업종별 협약을 통해 15% 이상 전력소비 감축을 추진한 사례를 적극 참고한 것이다. 지경부는 또 많은 수요자가 접할 수 있는 전력 일일예보를 하고 전기절약 요령을 담은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하기로 했다. 연간 2,000TOE(석유환산톤) 이상 에너지 다소비 건물 487곳에 대해서는 난방온도를 20도로 제한하고 전력 피크타임에는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난방기를 10분간 정지시켜 100만㎾ 부하를 줄이기로 했다. 공공기관에 대해서도 전력 피크 시간에 난방을 중지하고 개별난방기 사용을 금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요자가 자율적으로 전기절약에 참여할 경우 받을 수 있는 보상금을 늘리는 등 다양한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겨울 150만㎾였던 전력수요 피크기 수요관리량을 이번 겨울에는 300만㎾로 확대ㆍ운영할 방침이다. 공급 측면에서는 연내 95만㎾ 신고리 발전, 40㎾ 예천양수 2호 발전에 이어 6만㎾ 규모의 청평수력 4호 발전을 개시, 약200만㎾의 공급력을 추가 확충할 계획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이제는 겨울철에 전력 피크를 경신하는 일이 잦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철저한 수요관리를 통해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11월에는 차가운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날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 지방이나 강원도 영동 산간 지역에는 첫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는 12월에도 평년(-3~9도)보다 쌀쌀한 기온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의 한 관계자는 "12월부터 대륙고기압이 우리나라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북고남저형 기압배치가 형성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평년보다 추운 날이 많겠고 특히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