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동탄2신도시 시장이 먼저 알았다

작년 토지거래 42% 10월부터 연말까지 집중<br>광주 오포·용인 남사 신고건수는 동탄의 절반<br>주소 이전도 많아 개발정보 사전유출 의구심


분당급 신도시로 지정된 화성시 동탄 2신도시(동탄면 영천리ㆍ청계리 일원). 정부의 철저한 보안(?) 속에 이뤄진 동탄 2신도시 프로젝트에 시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화성 동탄, 광주 오포, 용인 남사 등 분당급 신도시 후보지로 거론된 세 곳의 토지거래 신고현황 등을 살펴보면 시장에서는 이미 지난해부터 화성 동탄을 최적지로 예상하고 움직였다는 징후가 포착된다. 토지거래 신고건수를 보면 이 같은 사실은 금방 드러난다. 동탄면 토지거래 신고현황은 지난해 719건을 기록했다. 올해에도 신도시 후보지가 최종 발표된 지난 1일 이전까지 429건의 토지거래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올 5월 말까지의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총 1,148건에 이른다. 특히 정부가 분당급 신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지난해 10월 이후부터 토지거래 신고 건수가 급증했다. 지난해 10~12월 3개월 동안 301건이 접수됐는데 이는 지난해 총 접수 건수(719건)의 41.8%에 달한다. 반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됐던 광주시 오포와 용인 남사는 찾는 발길이 예전보다는 늘었지만 화성 동탄에 비하면 초라하다. 오포 일대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지난해부터 올 5월까지 245건이다. 용인 남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 일대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올 1~5월 120건, 지난해에는 500건 접수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동탄 2신도시 토지거래 신고량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던 것이다. 또 하나 눈길을 끄는 대목은 거래 주소를 동탄면(기존 신도시 제외)으로 옮기는 사례도 제법 많았다는 점이다. 지난해부터 올 5월 말까지 동탄면으로 주소를 옮긴 가구는 3,955세대로 세대원을 2명 정도로 가정할 경우 7,900여명이 이곳으로 주소를 이전한 셈이다. 주소를 옮기게 되면 아파트 청약시 다른 지역보다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입질 덕에 올해 동탄면 토지의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19%를 기록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시장에서는 지난해부터 이들 세 곳에 신도시가 조성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고 이중 화성 동탄 일대가 유력 후보지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떠돌았다”며 “시장의 예측이 정부를 앞질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동탄의 경우 발표 하루 전까지도 건물을 짓겠다는 신고가 124건에 달해 신도시 정보가 사전에 유출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