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리빙 앤 조이] 올바른 역사관 없으면 글로벌 마인드도 없다

■학생도 직장인도 한자·한국사 학습 열풍<br>한자능력 자격증 취업 우대<br>급수시험 응시자 연 150만명<br>기업체, 한국사검정 승진 반영

롯데백화점 직원들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치르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시험 결과를 정기 승진 인사에 반영하고 있다

지난 2월 27일 서울 성북구 석관중학교에서 치러진 제45회 한자자격시험 3급 자격증 시험에 참가한 대학생 김선중(23) 씨. 사단법인 한자교육진흥회에서 주관한 이 시험엔 전국에서 10만여명이 응시했으며 사범(최고 급수)부터 8급까지 다양한 급수의 시험이 이뤄졌다. 김 씨는 "최근 대부분의 기업체들이 한자능력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데다 직장 생활을 하려면 기초 한자 정도는 제대로 알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해 시험에 응시했다"고 말했다. 최근 몇 년 사이 '한자 열풍'이 거세다. 한자능력자격시험에는 연간 150만 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려들고 서점의 한자 관련 코너에는 수백 종의 서적이 빼곡하게 꽂혀 있다. 상당수 기업체는 한자 능력이 뛰어난 지원자에게 가점을 부여한다. 최근엔 상대적으로 외면받아왔던 한국사가 새삼 재조명되면서 한국사 능력 시험을 통해 인재를 평가하는 업체도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경제ㆍ경영이나 법률 상식 못지 않게 우리 역사를 똑바로 아는 것이 진정한 인재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자 습득은 시대의 흐름=인천의 A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정지선(33) 교사는 얼마 전 수업을 진행하다가 깜짝 놀랐다. 본인 이름조차 한자로 쓰지 못하는 학생이 절반을 넘고 심지어 부모 이름을 한자로 적어낸 학생은 전체 40여명 중 2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정 교사는 "요즘 학생들의 한자 능력이 부족하다는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로 심각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는 비단 일부 학교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자교육 전문가들은 현재 시행중인 교육 과정에서 초ㆍ중ㆍ고 모두 한문을 필수 과목이 아닌 선택 과목으로 정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1969년까지 국어 교과서에 한자를 괄호 안에 넣는 병기를 시행했지만 1970년 한글 전용화 정책으로 초등 교과서에서 사라졌다. 한글 전용화 정책으로 인한 문제점이 노출되자 최근엔 교과서 기준과 지침을 마련하는 교육과정평가원이 '초등 교육 과정에 한자 교육을 넣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평가원은 "설문 조사에서 학부모 89.1%, 교사 77.3%가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찬성했다"며 "국가 교육 과정과 교과서 정책에 포함해 명문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말의 70~75%가 한자어로 이뤄진 만큼 적절한 수준의 한자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학부모들 역시 한자 공부가 자녀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으며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한자 교육이 어휘력과 사고력을 키워준다는 데 공감한다. 어린이 한자학습서 '마법천자문'이 1,300만부 넘게 팔리고 8개 공인(올해는 10개로 증가) 한자급수시험의 연간 응시자가 150만 명에 달하는 사실이 이런 인식을 반증한다. 특히 한자 문화권이 가진 시장 가치와 언어ㆍ문화 교류 차원에서도 한자 습득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울 때 한자를 알면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900여 개 한자와 1만여 개의 단어를 알면 90% 이상의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는 중국 교육부 문자관리국의 보고서도 나와 있다. 실제로 한자능력 자격증이 대학 입학이나 취업에 도움이 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동양학 인재전형 수시모집(한국한자검정 2급 이상), 단국대학교 특별전형 한문특기자 수시모집(한국한자검정 2급 이상) 등 한자능력자격을 입시의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는 대학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다. 또 삼성, 우리은행, SK, 현대중공업, 두산 등 상당수 대기업에서 한자자격증 소지자에게 가점을 부여하거나 자체적으로 한자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나미수 한국한자실력평가원장은 "한자 교육의 필요성은 오히려 학부모와 일선 교육 현장에서 먼저 절감하고 있으며 일부 학교들은 교장 재량 하에 한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한글 전용화 시대 이후 한자의 중요성이 간과됐지만 시대적 흐름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바른 역사관에서 올바른 세계관이 나온다=내년부터 행정고시나 외무고시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국사 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한국사 능력검증시험' 인증에 사전 응시해 2급 이상의 자격을 받아야 한다. 오는 2012년부터 행정고시와 외무고시 1차 시험에 한국사 과목을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무원 임용시험령 개정안'이 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올바른 역사관에 근거해 국가 주요 정책이 결정되고 관리돼야 한다는 각계 의견을 반영해 5급 공무원에 요구되는 역사 지식과 인식을 점검하기로 했다"며 취지를 설명했다. 기업체에서는 한 발 앞서 몇 년 전부터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롯데쇼핑은 지난 2007년부터 진급 시험에 한국사 능력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과거는 미래를 비추는 거울인 만큼 올바른 국가관 확립과 글로벌 마인드를 갖기 위해서는 우리 역사를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이철우 사장의 경영 철학에 따른 것이다. 진급 연차에 따라 급수별로 나눠 시험이 진행되는데 차장ㆍ과장 진급 대상자는 대학 교양 과목 수준인 '한국사능력시험 2급'을, 계장이나 주임 진급 대상자는 고교 국사 수준인 '한국사능력시험 3급'을 이수해야 하며 시험 결과는 정기 승진 인사 때 반영된다. 2007년부터 3년간 총 2,719명(2급 1,647명, 3급 1,07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 2007년부터 신입 사원 공채시 한국사 능력 1급과 2급 취득자에게 가점을 부여한다는 방침을 시행하고 있으며 GS칼텍스도 2008년부터 한국사검정능력시험을 치르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의뢰해 문제를 출제하며 기존에 한국사검정능력시험 2급 이상 자격증을 보유한 지원자는 시험을 면제받는다. GS칼텍스측은 국가 정체성을 지닌 인재를 선발해야 한다는 허동수 회장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한국사 시험을 도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는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은 지난 2006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첫 회 1만 5,000여명이던 응시생은 지난해 하반기 7회 시험(2회부터는 일년에 두 차례 시행)에서 4만 2,000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으며 지금까지 누적 응시 인원은 20만명에 육박한다. 제8회 시험은 오는 5월 8일 치러질 예정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관리팀의 고성훈 편사연구관은 "행시와 외시 수험생들이 필수적으로 한국사 시험을 보게 되고 기업체에서도 한국사 자격에 가점을 주는 등 한국사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이라며 "우리 국민들의 역사 인식이 제고돼 올바른 역사관과 세계관을 정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사/한자 문제 예시

<국가공인 한자자격시험(2급)> 1. 다음 설명과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는? 용기나 의욕을 북돋우어 힘을 내게 함 ① 鼓舞 ② 勳章 ③ 啓蒙 ④ 解剖 2. 다음 문장 중 ( )안에 들어갈 한자어로 알맞은 것은? 동료를 잃고 괴로워하는 그를 ( )하였다. 慰勞 ② 厭症 ③ 緊縮 ④ 頓悟 4. 다음 문장 중 한자로 표기한 단어의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쳐 쓰시오. (단, 음이 같은 한자로 고칠 것) 광복절을 맞이하여 모범수들이 司免되었다. ☞정답 1.① 2.① 4.司→赦 <제7회 한국사 능력시험> 27. 다음 전시과의 개편 내용으로 옳은 것은?(3점) <보기> 그간 정비를 거듭해 온 관제를 좀 더 세밀하게 정리하여 백관들에 대한 반열의 차서까지 정하고 있으며, 또 관리들이 국가에 대한 복무의 대가로 현물을 주는 녹봉 제도를 재정비하였다. 또, 양반 공음 전시법을 제정하고 향리의 9단계 승진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제도를 정비하였다. ① 전체적으로 토지 분급액이 증가하였다. ②서리와 군인은 분급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③현직이 아닌 치사직에도 토지가 지급되었다. ④ 4색 공복과 관계가 분급의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⑤무반이 같은 품계의 문반보다 토지 분급액이 많았다. 44. 2009년 유네스코에서 선정한 우리나라 세계 무형유산을 모두 고른 것은?(2점) (가)강강술래 (나)처용무 (다)영산재 (라)강릉단오제 (마)남사당놀이 ① 가, 나, 다, 라 ② 가, 나, 다, 마 ③ 가, 나, 라, 마 ④ 나, 다, 라, 마 ⑤ 가, 나, 다, 라, 마 ☞정답 27.⑤ 44.②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