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존주의보 급증

올 126회 발령 평년의 2~3배 넘어

연간 40~50회 정도 발령되던 오존주의보가 올들어 벌써 126회나 발령된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5일 현재 오존주의보는 전국적으로 126회 발령돼 처음으로 연간 100회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48회)는 물론 가장 자주 발령됐던 2000년(52회)보다도 2배를 넘은 수치다. 오존주의보는 6월 한달에만 이미 96회로 사상 최고기록을 갈아치웠으며 7월에 다시 28회 발령됐고 8월 들어서도 2회 발령됐다. 월별로도 지금까지는 지난해 6월의 36회와 2000년 7월의 26회가 최다였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70회로 가장 많았고 전남(15회), 경남(10회), 대구(8회), 서울(6회), 인천(4회), 부산ㆍ대전ㆍ울산(각 3회), 광주(2회), 강원ㆍ충북(각 1회)이 뒤를 이었다. 충남과 전북ㆍ제주는 오존주의보 발령제도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 오존농도 자체는 6월4일 정오∼오후6시에 전남 여수에서 오존주의보가 발령됐을 당시 기록된 0.170ppm이 가장 높았다. 2002년의 최고 농도는 0.203ppm이었고 지난해에는 0.183ppm이었다. 시간당 오존농도가 0.12ppm 이상이면 오존주의보가, 0.3ppm 이상이면 경보가, 0.5ppm 이상이면 중대경보가 각각 발령된다. 김상균 국립환경연구원 대기물리과 연구관은 “오존농도가 낮고 발령횟수가 많은 것은 대기조건이 악화됐다기보다는 고온건조한 기상조건이 지속됐기 때문”이라며 “비가 내리고 온도가 낮아지면 오존농도도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