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승전 선언 왜 미루나

미ㆍ영 연합군에 의해 바그다드가 함락됨으로써 사실상 이라크 전쟁은 끝났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승전 선언을 유보하고 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9일 미군에 의한 바그다드 함락과 바그다드 시민들의 환호 및 약탈 등 전황을 TV를 통해 시청한 뒤 “이라크 국민이 사담 후세인을 끌어 내렸다”고 언급했으나 아직도 위험한 전투가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 역시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조기 종전을 선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그동안 여러 차례 밝혀왔다. 실제 럼스펠드 장관은 지난 7일에도 “미국은 이라크에서 승리를 조기에 선언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후세인 대통령의 사망에 좌우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승전 선언을 유보하는 배경에는 이번 전쟁의 명분이었던 대량살상무기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 후세인 지지세력의 게릴라전 가능성 등 아직도 여러 변수가 남아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실제 럼스펠드 장관은 9일 ▲후세인 대통령의 행방 확인 ▲미군 포로 구출 ▲북부 유전 확보 ▲불법무기 확인 등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그러나 미국이 승전 선언을 늦추려는 배경에는 전쟁 주도에 따른 프리미엄, 즉 전후 이라크 재건 과정에서의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후 이라크 처리를 자신의 `입맛`대로 이끌기 위해서는 `아직도 전쟁 중`이라는 환경 조성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최근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전쟁 반대 3국은 물론 UN 역시 조기 종전 선언을 촉구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이 같은 미국의 독주 가능성을 견제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9일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와의 전화 통화를 갖고 이라크 군사작전이 가능한 빨리 끝나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피력했으며, UN은 “UN이 전후 복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해야만 이번 전쟁은 물론 향후 이라크의 권력 기구들에도 합법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정구영기자 gychung@sed.co.kr>

관련기사



정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