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통업계도 식품관리 비상

상하기 쉬운 음식 판매 중단… 유통기한도 단축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된 데다 최근 급식사고로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통업계에 여름철 식품관리 주의보가 내렸다. 상하기 쉬운 음식들은 아예 팔지 않거나 유통기한을 단축시키고, 식품관련 매장 직원들의 위생안전을 강화하는 등 혹시라도 일어날 지 모르는 식품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 경인 7개점은 다음달 말까지 더위에 금새 변질되기 쉬운 김밥, 초밥, 롤 상품은 포장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 고객이 부득이 요구할 경우 아이스팩과 보냉팩에 넣어주기로 했다. 유통기한은 6시간에서 3시간으로 줄였으며 변질 위험이 높은 계란 지단과 시금치는 빼는 대신 오이나 당근 등을 더 추가한다. 또한 스낵가와 식당가 근무자들에게는 하루 8차례 30초 이상 손씻기 운동인 '1830 캠페인'을 진행한다. 신세계백화점은 변질되기 쉬운 식품은 아예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 신세계 이마트는 유통기한을 제조 후 7시간 이내에서 4시간 이내로 단축했으며, 생크림을 넣은 빵 등은 아예 팔지 않는다. 롯데마트는 김밥과 도시락류 보관 온도를 영상 10도 이하로 정하고 제조 후 4시간 이내에 판매한다. 계란 지단, 시금치, 쇠고기 볶음 등 잘 상하는 재료는 넣지 않고, 맛살은 당일사용분만 쓰기로 했다. 햄도 당일 사용분만 80도 이상에서 살짝 데쳐 쓴다. 또 위생장갑도 조리품목이 바뀔 때 마다, 원재료 외에 칼 손잡이 등 다른 집기를 만질 때마다 교체한다. 특히 원재료를 30분 이내에 지정 냉동ㆍ냉장고에 넣고, 사용할 재료는 30분 이내 사용할 분량만 개봉하며, 포장한 상품은 주방에 30분 이상 방치하지 않는다는 '30분 룰'을 적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