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이라크戰 ‘보상-처벌’ 시작

`전쟁은 끝나고 이제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시간` 미국이 지난 이라크전을 지지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보상과 함께 반대한 국가에 대한 처벌(?)을 시작했다고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이 28일 보도했다. 미국의 한 외교관리는 이와 관련 “무임 승차란 결코 있을 수 없다”며 “모든 국가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맞는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가장 큰 선물을 선사 받을 국가로는 싱가포르. 지난 91년 미국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거부했던 싱가포르는 이번 이라크전에서는 군사기지를 제공하면서 미국 주도의 연합군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저널은 미 의회가 `싱가포르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조속 체결`이라는 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전쟁의 정당성을 여러 차례에 걸쳐 공개적으로 천명한 필리핀에 대해서는 이라크 재건 과정에 10만명의 필리핀 노동자를 참여시키는 것으로 미국은 보답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일부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파병을 결정한 한국 정부나 일본 정부에 대해서도 그에 합당한 혜택을 준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미군기의 영공 통과를 허가하지 않은 말레이시아는 `처벌` 대상으로 분류됐다. 과거부터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에 대해 미국이 다각도의 외교적인 압박을 준비중인 것으로 저널은 전했다.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으면서도 이번 전쟁에 중도적인 입장을 취했던 타이의 탁신 시나왓 총리도 응징 대상에 올랐다. 저널은 이에 따라 올 하반기 예정된 탁신 총리의 미국 방문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그러나 아시아 국가 중 가장 격렬한 반미시위가 벌어졌던 이슬람 최대국가 인도네시아에 대해서는 그 어떤 대응도 하지 않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이라크전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과 달리, 자국 내 미국 자산 보호에 적극 나서는 등 보이지 않는 노력 곳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했기 때문이라는 게 저널의 설명이다. <장순욱기자 swchang@sed.co.kr>

관련기사



장순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