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2015년이면 '맞춤의학' 시대 열린다"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진전으로 오는 2015년이면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의학'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서울대 강성근 교수는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산업자원부가 주최한 '제3차 바이오기업 경영인 포럼'에서 "지금까지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병의 유형이나 성별, 연령에 무관한 환자 맞춤형의 줄기세포를 개발하고 줄기세포 개발에 사용되는난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성과가 있었다"고 소개하고 앞으로는 훨씬 더 괄목할만한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15 바이오산업 비전과 발전전략'을 주제로 한 이날 세미나에서 '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해 주제발표를 한 강 교수는 "오는 2013년이면 신경계,당뇨, 심장.간 등의 모든 세포에 대한 세포치료가 가능하고 2015년 경에는 개인의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의학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양흥준 LG 생명과학 사장은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주제 발표에서 "국내 신약개발 프로젝트가 36개 기업 115개 품목에 이르고 줄기세포와 임상시험 연구 등에서 세계적인 인정을 받는 등 국내 바이오산업의 역량이 한층 강화되고있다"고 평가했다. 양 사장은 그러나 "바이오 산업계의 영세성으로 연구개발(R&D) 투자 여력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고 정부 R&D 투자 예산 또한 미국의 2.2%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산업계의 R&D 투자 확대를 통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축과 M&A 등을 통한 구조조정, 해외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자원부 신용섭 생활산업국장은 "오는 2015년이면 바이오산업 세계 7위, 생산 60조원, 수출 250억달러 달성이 가능하다"고 정부의 비전을 밝히고 "이를 위해매년 2천억원씩, 앞으로 10년간 2조원 이상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