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년 이상된 원전설비 선제적 교체

고리 1호기 IAEA 재가동 승인 못받으면 폐쇄

정부가 20년이 넘은 원자력발전소의 취약설비를 선제적으로 교체하고 발전소 이상시 실시간으로 감독기관 등에 자동통보되는 시스템을 만들기로 했다. 현재 가동이 중단된 고리 1호기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점검 등을 거쳐 재가동 여부를 결정하되 재가동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폐쇄된다.

지식경제부는 13일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전운영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을 보면 정부는 우선 원전설비의 건전성 강화를 위해 오는 7월까지 비상 디젤발전기를 포함한 원전 운영 전반을 특별점검한다. 이 중 고리 1~4호기, 영광 1ㆍ2호기, 월성 1호기, 울진 1ㆍ2호기 등 가동한 지 20년 이상 된 9기는 문제 발생 우려 설비를 선제적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특히 지경부는 발전소에 문제가 생기면 실시간으로 감독기관과 민간환경단체ㆍ지방자치단체에 관련 내용이 자동통보되는 시스템을 올해 말까지 구축해 보고의 누락ㆍ지연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또 원전 설비 건전성 보장의 핵심인 계획예방정비의 점검 항목을 기존 50개에서 100개 수준으로 확대하고 기간도 20~30일에서 35~45일로 늘리기로 했다.

원전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조직문화 쇄신과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외부기관에 컨설팅을 의뢰하는 한편 법무ㆍ홍보 등 주요 보직은 외부에 개방하기로 했다.

아울러 핵심설비에 대한 정비ㆍ검사는 한수원이 직접 시행하는 비율을 높이고 원전 운영 정보공개를 위한 전용 홈페이지를 운영할 계획이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지금까지 원전 사고는 방사능 등 본질적인 사고와 거리가 있는 운영상의 문제였다"며 "고리 1호기 사고는 정신 상태, 경직적인 문화가 가장 큰 원인인 만큼 이번 대책이 원전 안전에 관한 종합대책이라고 보면 된다"고 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