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보고서 주장실적에 따라 승진과 급여를 조정하는 성과주의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지만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되레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우리 기업의 경우 별다른 검증 없이 미국식 성과주의를 성급하게 도입해 오히려 사회문화와 마찰을 일으키고 제도정착이 지연되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7일 '성과주의 인사의 명암과 제언'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외환위기 후 글로벌 스탠더드를 강요받은 기업들이 충분한 검토과정 없이 성과주의를 도입해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봉제와 성과배분제를 도입한 기업의 비율은 지난 97년 10%를 밑돌다 올초 20~30%까지 급상승했지만 개인간의 지나친 보상격차가 구성원들간에 위화감을 일으키고 단기적ㆍ가시적 성과만 중요시하는 풍조가 오히려 기업의 미래를 위협하면서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기업들이 성과주의를 금전적 보상에 치중하고 사업의 특성과 전략ㆍ직종에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운영하면서 팀워크가 훼손되고 '결과지상주의'로 분식회계 등 기업의 비리와 스캔들이 초래될 위험성까지 내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팀 내 선수들간 연봉격차가 클수록 팀 성적이 좋지 않았다는 99년의 한 조사결과를 예로 들며 이 같은 관점에서 한국 월드컵 축구대표팀에 대한 포상금 균등지급은 집단 성과주의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월드컵 대표팀 포상금을 선수들의 활약 정도에 따라 'AㆍBㆍC' 등급으로 차등 지급하는 것보다 탄탄한 팀워크를 과시한 대표팀을 하나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치라는 평가다.
이에 따라 국내기업이 성과주의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이기고 이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지나친 개인별 차등 위주보다 집단성과 보상프로그램의 적절한 조화 ▦경력 개발 기회, 교육훈련 등 비금전적 보상을 포함한 총보상 고려 ▦장기성과지표와 보상책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또 ▦품질ㆍ서비스ㆍ혁신 등 질적 성과 중시 ▦사업의 특성, 직무와 직종, 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설계 및 운영 ▦투입과 과정ㆍ결과를 전체적으로 고려한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이연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