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투신 완전감자 추진

금감위, 소액주주엔 추후 인센티브 주기로금융감독위원회는 미국 AIG와 현대그룹 금융3사 매각협상 재개를 앞두고 현대투자신탁증권을 완전감자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 정부는 일단 완전감자 후 소액주주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했던 한빛ㆍ평화ㆍ광주은행 처리의 전례를 적용해 소액주주의 불만을 무마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금감위의 한 고위당국자는 6일 “AIG와 협상을 재개하는 시점에서 현대투신증권 감자문제가 정부의 최대 고민”이라고 전제, “일단 대주주는 물론 소액주주분까지 완전감자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정은 대주주 지분은 전액 감자하겠지만 소액주주 지분은 부분감자를 통해 구제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는 그간의 전망을 뒤집는 것이어서 소액주주들의 대응이 주목된다. 현대투자신탁증권 소액주주는 약 2만5,500여명으로 24.29%의 지분을 갖고 있는데다 대부분이 지난해 초 현대투신증권이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상증자 때 참여한 우량 투자자들이라는 점에서 현대그룹 금융3사 매각과정에서의 처리문제가 초미의 관심사가 돼왔다. 이 당국자는 “완전자본이 잠식된 회사에 대한 부분감자는 전례가 없다”며 완전감자가 불가피함을 강조했다. 현대투신증권은 3월 말 기준 하이닉스(41.92%), 현대증권(18.62%), 현대중공업(1.9%), 현대상선(1.48%) 등 현대그룹 계열사 지분율이 63.92%에 달한다. 또 자기자본 마이너스 1조696억원으로 자본잠식 상태인 것은 물론 추가부실 또한 1조원을 상회, 자본잠식분을 메우기 위해서는 완전감자가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측 판단이다. 정부는 대신 소액주주 구제방안으로 ‘우리금융지주회사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한빛ㆍ평화ㆍ광주은행 등 6개 은행을 통합한 우리금융지주회사에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소액주주분까지 완전감자한 후 시장가치의 3분의1 가격으로 주식매수청구권과 우리금융지주회사 신주인수권 청약권을 줘 소액주주의 반발을 무마한 전례가 있다. 정승량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