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는 제발… 내심 울부짖는 여성들
[레짐 체인지] 경제민주화 보다 물가 안정·일자리가 우선[본지·현대경제연 공동 설문] ■ 대선 주자에게 바란다이슈로 떠오른 복지확대 등 예상보다 관심 높지 않아40~50대 선성장 후복지… 20~30대는 복지에 방점
윤홍우기자 seoulbird@sed.co.kr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경제위기와 치솟는 장바구니물가에 살림살이를 꾸려가기가 더욱 힘들어졌기 때문일까. 아니면 구호뿐인 복지와 경제민주화의 허상을 국민들도 알아차린 것인가.
서울경제신문이 창간 52주년을 맞아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차기 대선주자에게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실질소득과 연계되는 ‘물가안정(36.0%)’과 소득 창출의 근원인 ‘일자리 창출(3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선 국면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민주화(12.8%)’와 ‘복지확대(6.7%)’에 대한 관심은 예상했던 것보다 높지 않았다. 현 정부의 목표였던 ‘재정건전성(8.6%)’이나 ‘수출 확대(3.6%)’에 대해서도 시들한 반응을 보였다.
팍팍한 살림을 꾸려가는 주부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때문인지 물가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원하는 응답은 여성 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성 가운데 37.4%(남성은 34.6%)는 ‘물가안정’ 34.7%(남성은 29.6%)는 ‘일자리 창출’을 대선주자에게 요구했다. 치솟는 장바구니물가와 가장의 이른 퇴직에 고통 받는 여성들의 심리가 녹아든 결과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상에서 일자리 창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다. 무려 42.6%가 일자리 창출을 대선주자에게 요구했는데 최근 급증하는 퇴직하는 베이비붐 세대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치권의 가장 큰 관심사인 경제민주화에 대한 요구는 40대, 화이트칼라, 대졸 이상, 월소득 300만~500만원의 고소득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경제민주화를 택한 응답자가 적기는 했지만 이른바 오피니언 리더들로 불리는 계층에서 경제민주화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복지 확대에 대한 요구는 20~30대, 미혼, 대졸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혼을 앞두고 치솟는 전셋값에 시름하고 월급을 받아도 생활을 꾸려나가기가 쉽지 않은 젊은층들의 현실을 나타내는 것이다.
국민들은 ‘대선 후보들이 성장과 복지 가운데 어디에 중점을 둬야 하나’라는 질문에는 ‘성장과 복지의 균형(44.3%)’ ‘선성장 후복지(41.9%)’ ‘선복지 후성장(13.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성장과 복지의 균형’을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성장에 방점을 둔 응답자가 훨씬 많았던 셈이다.
다만 연령대별로 보면 성장과 복지의 무게중심에는 다소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40~50대는 ‘선성장 후복지’를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던 반면 20~30대는 ‘선복지 후성장’을 택한 응답자의 비중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40대와 50대에서는 ‘선성장 후복지’를 택한 응답자가 45.3%, 53.5%에 달했는데 고도의 경제성장 시기에 살아온 이들에게는 성장에 대한 향수가 아직 진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반면 20대와 30대는 ‘성장과 복지의 균형’을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선복지 후성장’을 택한 응답자도 각각 18.3%, 18.6%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블루칼라, 자영업, 전업주부 사이에서 ‘선성장 후복지’를 원하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다. 경제성장률이 지금처럼 떨어질 때 가장 고충을 받는 직업군들 사이에서 성장에 대한 갈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다.
자산 규모별로 봤을 때는 부유층에서 ‘선성장 후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5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계층에서는 ‘선성장 후복지’를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5억원 미만 계층에서는 ‘성장과 복지의 균형’을 택한 응답자들이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