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파트 하락세도 양극화(?)

정부의 8.31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 이후 한달동안 수도권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집값 하락세가 중대형보다 소형 아파트에 집중되는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부동산정보협회 시세 자료에 따르면 8.31 대책 이후인 9월1일부터 9월28일까지 서울의 소형 아파트는 0.36% 하락한 반면 대형 아파트는 오히려 0.3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 분석에서 32평형 미만은 소형, 32-50평형은 중형, 50평형 이상 아파트는대형 평형으로 계산됐으며 재건축 아파트는 조사에서 제외됐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 소형 아파트는 0.84% 하락했지만 중형 아파트는 -0.04%의미미한 변동률을 보였고 대형 평형은 오히려 0.47% 올라 평형별 하락세에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서초구도 소형(-0.14%), 중형(0.12%), 대형(0.79%) 등으로 가격 변동률이 평형별로 차이를 보였고 강동구는 소형(-0.38%), 중형(0.23%), 대형(0%) 등으로소형 형평만 하락했다. 송파구는 소형(0.27%), 중형(-0.11%), 대형(0.12%) 등으로 중형 평형을 중심으로 많이 내렸다. 신도시(소형 -0.05%, 중형 -0.05%, 대형 1.02%)와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도(소형 -0.09%, 중형 0.06%, 대형 0.74%)도 소형 평형 중심의 하락세를 보여 서울과 사정은 비슷했다. 분당은 소형(-0.07%)과 중형(-0.36%)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이며 하락한 반면 대형 아파트는 1.4% 올랐고 일산도 소형(-0.07%), 중형(0.62%) 대형(0.73%)순으로 평형별 변동률에 차이가 벌여졌다. 이렇게 8.31 대책 이후 중대형보다 소형 평형의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는 것은다주택자들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소형 주택을 처분하고 유망지역 블루칩 아파트로부동산 자산을 집중시키는 현상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올 상반기 2억-3억원씩 폭등하며 강남권 중대형 아파트의 `빅3'로 불리는 도곡동 타워팰리스와 삼성동 아이파크, 동부 센트레빌은 대책 이후에도 호가는요지부동이다. 타워팰리스 1단지 68평형은 상반기 20억원대를 넘긴 이후 최근까지 23억-25억원으로 호가에 변동이 없으며 삼성동 아이파크도 81평형이 최고 35억원으로 호가되면서 위세에 변함이 없다. 인근 공인 관계자는 "8.31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여러 채의 집을 갖는 것보다는좋은 집 한 채를 보유하는 편이 여러 면에서 유리해지기 때문에 강남 노른자위 땅의고급 아파트는 인기가 더 올라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