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르노삼성 "전기차로 택시시장 잡을 것"

"SM3 Z.E. 내년 2,000대 이상 판매할 것"






“택시로 흥한 회사 택시로 부활 노리겠다”

르노삼성자동차가 순수 전기차 ‘SM3 Z.E.’를 택시용으로 집중 보급해 전기차 분야에서 기선을 잡는다는 전략을 세웠다.


르노삼성 측은 12~13일 이틀간 제주도 일대에서 SM3 Z.E. 기자기승회를 열고 “내년 전국 택시용으로 SM3 Z.E.를 2,000대 이상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고 밝혔다.

르노삼성은 내년 부산 공장에서 SM3 Z.E.를 4,000대 생산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정부 및 공공기관에 10%를, 가정용으로 10%를 판매하고 나머지 80%는 택시ㆍ렌터카ㆍ카쉐어링 등 운수ㆍ운송 사업자에게 판매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택시에 집중하겠다는 게 르노삼성의 전략이다.


르노삼성이 이같이 택시 시장에 전기차를 집중 소개한다는 전략을 세운 이유는 SM3 Z.E.만이 경쟁 차종 중 유일하게 택시로 활용할 수 있는 준준형급이기 때문이다. 기아차 ‘레이 EV’와 한국GM ‘쉐보레 스파크 EV’는 경차여서 택시로는 적합치 않다. 아울러 택시는 연료비 등 운행 경비가 중요한 선택 기준이어서 전기차가 더욱 매력적이다. 르노삼성은 전기차에 익숙치 않은 민간 고객들이 택시로 먼저 SM3 Z.E.를 접할 경우 전기차 구매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을 달리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르노삼성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 전략은 과거 삼성자동차가 출범하면서 택시 시장을 먼저 공략해 대공성을 거둔 것과 동일하다”면서 “택시로 일어선 회사가 택시로 부활을 노리는 것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르노삼성의 전신인 삼성차는 실제로 1998년 첫 차인 ‘SM5’를 론칭하면서 택시 시장을 공략해 기사들로부터 호평을 받았고 이는 입소문으로 퍼져나가 민간 시장에서의 성과로 이어졌다.

현재 SM3 Z.E. 택시는 대전에서 3대가, 제주도에서 2대가 시범 운행 중이다. 전기차로 영업하는 기사들의 반응은 꽤 좋다. 한번 충전하면 135㎞를 달릴 수 있어 이틀 영업하는 동안 세 차례 충전하면 된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액화석유가스(LPG) 택시가 200㎞ 정도 운행하면 가스값이 3만8,000원 정도 나오는데 SM3 Z.E.의 전깃값은 3,000~4,000원이면 된다”면서 “고유가 시대에 전기차가 합리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충전 시간도 문제지만 기사의 식사시간에 급속 충전(30분)을 하면 시간의 낭비가 없고 향후 차량 배터리를 휴대폰처럼 아예 갈아 끼우는 ‘퀵 드롭’서비스망을 갖춰 나갈 계획이어서 택시용으로 손색이 없다는 게 르노삼성 측의 설명이다.

SM3 Z.E.의 가격은 4,200만~4,300만워내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보조금을 받으면 2,000만원대 초반에 살 수 있다. 전기 충전비는 동급 가솔린차에 비해 약 6분의 1 정도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