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저성장 속 성장·삶의 질 추구’ 구체 전략 찾는다

미래부·미래준비위 ‘10년 뒤 한국사회 이슈’ 선정, 연말까지 대응전략 마련해 정책 방향 제시

미래창조과학부는 저성장 극복과 삶의 질 추구를 ‘10년 뒤 우리 사회의 핵심 문제’로 정하고 올해 안에 대응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미래부가 지난해 출범시킨 미래준비위원회(준비위)는 앞서 발표한 미래이슈분석보고서를 토대로△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을 핵심 이슈로 이날 선정했다. 미래준비위원회는 지난 7월 경제와 사회, 정치·환경·핵심기술 등 분야에 걸쳐 저성장·고용불안·안보와 통일·에너지 자원 고갈 등을 포함한 주요 10대 이슈를 발표했었다.

관련기사



먼저 준비위는 저성장 속 성장전략을 찾기 위해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둔 신산업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전자상거래와 생체인식 기술을 더한 바이오 인식 산업, 전염병 위협을 유전자 진단과 칩으로 극복하는 고속진단 칩 산업 등이 예다.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과 전통적 가족개념의 변화 등 다른 이슈들과 연관관계가 높으며, 준비위는 스마트워크 기술, 실감형 협업과 업무환경조성 기술을 통해 삶의 질 제고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구체적인 대응전략이 이후 연구개발(R&D)투자와 산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미래유망기술 발굴체제와 연계해 실효를 거두겠다는 방침이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