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 진출 한국기업 '인력 이탈' 비상

춘제 연휴후 직원들 고임금 받는 곳으로 移職 우려


“춘제(春節) 연휴 뒤에 480여명의 직원 중 60~70%만 돌아올 것 같아 걱정이 태산 같습니다.”(중국 톈진의 휴대폰 부품생산 중소기업 관계자) 중국에 진출해 활동 중인 한국기업들이 중국 최대의 명절인 춘제 이후 예상되는 대규모 인력이탈로 비상이 걸렸다. 16일 KOTRA에 따르면 상하이ㆍ베이징ㆍ다롄ㆍ칭다오ㆍ광저우무역관을 통해 조사한 결과 한국 투자기업들의 상당수가 춘제 이후 그 어느 해보다 극심한 민공황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민공황은 도시에서 일하는 외지 근로자들이 더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해 직장을 옮기는 바람에 발생하는 대규모 인력이탈 현상으로 춘제 같은 장기연휴 직후 발생하고 있다. 산둥성 칭다오에서 헬멧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A사는 “전체 현장 근로자의 10%에 달하는 20~30명이 춘제 후에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광둥성 광저우의 장신구 제조업체 B사 역시 근로자 350명 가운데 30명 이상이 빠져나갈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저장성 닝보 소재 의류업체 C사는 “최근 원자재가 상승에다 위안화 상승 등으로 수출 채산성이 떨어져 임금을 올려주기 힘든 형편”이라며 춘제 이후 인력이탈을 걱정하고 있다. KOTRA 중국본부는 “한국기업들은 중국기업에 비해 임금수준이 높아 그 동안 민공황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았지만 최근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본부는 “임금인상만으로 인력을 붙잡으려 할 경우 오히려 근로자들의 기대수준을 높여 경영압박이 더 커질 수 있다”며 “종업원이 외부인을 입사시키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또 현지 직업학교와 투자기업간 연계사업을 통해 인력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