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임대주택 펀드 투자기간 다양화"

정부, 국고채 처럼 3·5·10년물 구성 모색<br>투자자 참여쉬워 조달비용 싸고<br>펀드 청산때 쏠림현상 분산 효과

임대주택펀드 투자기간이 당초 예상됐던 10년이 아닌 3년, 5년, 10년 등으로 다양화될 전망이다. 7일 정부의 한 관계자는 “펀드 투자기간을 좀 더 다양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국고채 발행기간이 다양한 만큼 임대주택펀드 투자기간도 10년 단일물이 아니라 3년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펀드 투자기간을 다양화하는 가장 큰 이유는 투자자 유치다. 투자자가 몰릴수록 조달 비용(금리)은 낮아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측면이 고려된 것. 정부는 국민연금이나 보험ㆍ우체국 등의 투자유치뿐 아니라 일반투자자도 펀드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 위해 투신권을 통한 자금모집도 강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재정경제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국민연금이 먼저 (투자)하고 부족하면 다른 데서 채우는 개념이 아니다”면서 “누구라도 낮은 금리를 제공한다면 (임대주택펀드에) 참여할 수 있으며 민간의 참여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펀드 수요자가 많으면 공개경쟁 입찰도 고려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될 경우 조달 금리는 당초 예상했던 6%선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펀드 투자기간은 국고채와 마찬가지로 3년, 5년, 10년짜리로 구성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비중을 10년짜리에 50% 이상 두면서 나머지는 3년과 5년짜리로 분산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자산운용사의 한 임원은 “투자기간이 다양할수록 펀드의 상품구성이 더 탄탄해지고 투자자를 모집할 때도 훨씬 수월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펀드 기간에 따라 책정금리 변화도 꾀할 수 있어 정부로서는 훨씬 효율적으로 상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0년짜리 단일상품으로 판매할 경우 만기 뒤 발생할 환매 쏠림 현상을 분산하자는 의도도 반영됐다. 만기 10년이 지난 후 펀드 청산이 한꺼번에 이뤄질 경우 유동성 제약으로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또 매년 5조원어치 매각 물량이 쏟아질 경우 주택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펀드 만기를 다양하게 할 경우 펀드 청산도 분산되고 비축임대주택 매각도 상대적으로 수월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10년 후 매각하기로 한 주택을 앞당겨 팔 수 있다는 측면도 감안했다. 재경부는 이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비축임대주택을 10년 뒤부터 매각하는 게 원칙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