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태현의 벙커 탈출법] 볼이 모래에 묻혔다면…

페이스를 세워라



[서울경제 골프매거진] 페어웨이에서 날린 볼이 그린 근처의 벙커에 빠져 가까이 가보니 볼이 볼이 모래에 절반 정도 묻혀있는 상태다. 그 자체로 부담스러운 벙커 상황에서 볼이 묻혀있기까지 하니 영 자신이 서지 않는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구사하던 대로 탈출을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하고 볼이 앞으로 옮겨져 모래 위에 놓인 상태에서야 비로소 벙커 밖으로 빼낼 수 있었다. 왜 한 번에 탈출하지 못했을까. 이동수골프 소속의 전태현 프로는 "벙커샷은 볼이 처한 상황에 따라 탈출법이 다르다"고 조언한다. 볼이 모래 위에 놓인 경우라면 볼만 살짝 걷어내면 되지만, 모래에 묻힌 상황이라면 모래와 함께 볼을 쳐내야 하기 때문이다. 볼이 모래에 박히면 클럽도 모래를 파고들어야 한다. 볼이 박힌 정도만큼 클럽도 모래를 깊이 파고든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볼이 모래 위에 놓였을 때처럼 페이스를 열어서는 안 되며, 페어웨이에서 샷을 할 때보다 더 바짝 세워서 페이스를 스퀘어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볼의 뒤쪽 3cm 정도 지점부터 모래를 파고들면, 헤드가 모래를 파고 지나가는 힘으로 볼이 탈출하게 된다. 모래를 파고 지나가야 하므로 일반적인 벙커샷보다 더 많은 힘이 요구된다. 파워풀한 샷을 위해 백스윙을 평소보다 빨리 시작하고 코킹도 바로 한다. 이렇게 하면 다운스윙에서 급경사의 스윙궤도가 형성되어 클럽이 모래 속을 더 잘 파고들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