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내달 10일부터 일제히 주총

임직원 스톡옵션 잔치 '최대 이슈'…부산銀 후임행장도 관심

오는 3월 10일 대구은행과 전북은행, 제주은행 등 지방은행을 시작으로 전국의 은행들이 일제히 주총 시즌에 돌입한다. 이번 주총에서는 사상 최대의 순이익을 내세운 은행 임원들의 스톡옵션 잔치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아직 행장이 선임되지 않은 부산은행 등 일부은행의 후임 행장 선정 문제도 관심을 끌고 있다. 26일 은행권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대구, 전북, 제주은행이 다음달 10일 주총을 열며 경남은행은 다음달 17일, 조흥과 신한은행은 다음달 21일 주총을 개최한다. 또 우리, 하나, 국민, 부산, 광주 등 무려 5개 은행이 다음달 24일 한꺼번에 주총을 소집하며 한국씨티은행은 다음달 29일 주총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외국계가 대주주인 외환은행과 SC제일은행 등 2개 은행들은 아직도 주총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주총에서는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기록함에 따라 배당금이나 임직원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 문제가 논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라응찬 회장 12만주, 이인호 사장 18만6,500주, 상무 4명에 각각 2만4,000주 등 모두 355만8,000여주의 스톡옵션을 주기로 했다. 국민은행과 대구은행 등의 이사회도 스톡옵션을 부여하기로 결정하는 등 전북은행을 제외한 대다수 은행들이 스톡옵션 부여를 주총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또 이번에 임기가 만료되는 은행장은 조흥과 부산, 대구, 제주 등 모두 4개 은행이다. 하지만 통합신한은행(신상훈), 대구(이화언), 제주은행(윤광림) 등은 이미 후임이 확정됐으며 부산은행만 아직 미정인 상태다. 부산은행은 다음달 초 은행장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행장을 추대할 예정인 가운데 심훈 행장의 3연임 도전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심행장은 한국은행 부총재 출신으로 다음달로 임기 만료되는 한은총재나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