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IT 中企 "해외 전문인력 모셔라"

싼 인건비에 기술수준 높고 전직 거의 없어<br>상용화 단계서 투입… 기술 유출 위험 적어<br>정통부도 이달 채용박람회 통해 취업 지원


정보기술 분야에서 해외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 고급인력이 중소기업을 외면하는 탓에 중소 IT기업들은 필요한 전문인력을 주로 해외에서 찾고 있다. 해외 인력은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쌀 뿐 아니라 전직도 잦지 않아 중장기 연구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도 중소 IT기업들이 해외에서 필요한 인력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정보통신부는 오는 10일부터 12월 3일까지 온라인(http://itcard.jobkorea.co.kr )을 통해 ‘해외 IT인력 채용 박람회’를 개최한다. 정통부는 박람회에서 해외인력 소개 및 상담, 해외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취업비자 발급 등을 직접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 수준 높고 한 직장에 오래 근무=국내에 취업한 해외 IT인력은 대부분 인도, 러시아, 베트남 등지 출신이다. 이들 인력을 채용한 중소 IT 기업들은 “이들의 기술수준이 예상보다 높고, 전직도 잦지 않아 아주 만족스럽다”고 입을 모은다. 상당수 중소 IT기업들은 국내 전문인력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이직이 잦아 개발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험을 갖고 있다. 하지만 해외 인력은 1년에서 3년 정도 장기간 근무하는 데다 보통 관련분야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을 갖고 있다. 게다가 인건비도 국내 인력에 비해 50~70%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급여가 자신의 나라에 비해서는 두 배 이상 높기 때문에 기업과 해외인력의 이해가 맞아 떨어진다. 해외인력 헤드헌팅 업체인 드브레인의 권계환 이사는 “구인 과정이 2개월 이내에 완료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필요한 인원을 충원할 수 있고 고용 지속성이 높아 해외인력을 선호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실업률 상승이나 기술유출 우려는 기우(杞憂)=일각에서는 해외 인력 유입으로 국내 IT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해외로 기술 유출을 우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기우(杞憂)일 뿐이다. IT벤처기업협회의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에는 해외인력으로 대체되는 경우라 문제가 크지만 국내의 경우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해외 인력의 기술수준이 높은데다 이들이 투입되는 분야가 주로 제품 상용화 단계라는 점에서 기술유출에 대한 위험도 크지 않다. 오히려 해외인력의 상당수가 인텔, IBM 등 다국적 기업의 현지 연구소 등에 근무한 경험이 있어 오히려 기술 이전 효과를 얻는 경우도 많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