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80%, “스펙 좋아도 조기퇴사 가능성 크면 채용 안해”

기업 대다수가 입사지원자의 학력, 학점 토익 점수 등 이른 바 ‘스펙’이 좋더라도 조기 퇴사할 것 같으면 뽑지 않겠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대ㆍ중견ㆍ중소기업 406개사의 인사담당자를 상대로 한 조사 결과, ‘스펙이 우수한 지원자라도 조기 퇴사 가능성이 크면 채용하지 않는다’는 기업이 전체의 80%였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74.5%, 중견기업 80.3%, 중소기업 83.1%로 나타났다. 신입직원 채용 때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을 묻자 스펙을 꼽은 기업은 36.5%에 그친 반면 인ㆍ적성 분야에 속하는 적극성, 조직적응력 등을 중점적으로 본다는 기업은 63.1%를 차지했다. 2009년 채용한 신입직원의 입사 1년 이내 퇴사비율을 보면 대기업이 13.9%,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각각 23.6%, 39.6%로 집계됐다. 퇴사사유로는 ‘업무가 전공ㆍ적성과 맞지 않아서’가 35.7%로 가장 많았고, 연봉ㆍ복지후생 불만족(21.2%), 근무여건 불만족(15.0%), 조직문화 부적응(11.8%)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신입직원의 조기 퇴사를 막기 위해 멘토링(41.4%), 초봉 인상과 복리후생 개선(33.7%), 연수 및 교육(32.8%), 합숙훈련과 단합대회(19.2%)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었다. 한편 2009년 기준 기업의 신입직원 1인당 평균 채용비용은 71만원, 교육ㆍ연수비 등 정착지원비용은 175만원이었다. 대기업의 경우 채용비용 189만원, 정착지원비용 375만원 등 채용과정에서 1인당 평균 564만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