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운 오리새끼서 백조로 변신 수도권매립지

수도권지역의 대표적인 혐오시설 중 하나로 꼽혀온 수도권매립지가 인천과 김포 등 주변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연구결과가 나와 시선을 끈다. 한국산업경제연구소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의뢰로 주변 지역경제에 미친 수도권매립지의 영향을 분석, 6일 내놓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매립지가 1992∼2004년에 인천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 효과만 해도 생산유발 4천580억원, 부가가치 창출1천910억원, 고용창출 4천426억원 등 총 1조916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매립지측은 쓰레기 반입수수료 10%를 떼어 주변 직ㆍ간접 영향권 지역의 도로건설, 상하수도 보급, 복지회관 건립, 주민체육공원 설치, 장학금 지급 등 주민지원사업에 지원한 자금도 총 3천811억원에 이르렀다. 또 지역발전을 위해 2004년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제한정비권역인 경기 김포군 김포읍, 검단면, 고촌면이 성장관리권역으로 조정됨으로써 검단산업단지(45만평, 750개 업체)도 조성됐다. 아울러 쓰레기 운반 전용도로 건설, 지방도 확ㆍ포장 등으로 주민들의 통근거리가 지역별로 15∼60분 단축되는 등 각종 인프라가 확충됨에 따라 인천시는 2006년까지 3천39억원을 투자해 검단1∼2지구, 원당 및 당하 등 7개 지구에 인구 12만명을수용하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진행중이다. 매립지 유휴부지에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연구원, 한국환경자원공사, 환경관리공단 등 3개 기관(1천800여명)이 입주함으로써 인근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는 2007년까지 662억원을 들여 단지내 국립생물자원관도 개관할 예정이다. 산업경제연구소는 2000년부터 2038년까지 매립지 일대에 총 2조2천680억원이 투입되는 국내 최대규모 공원개발 사업인 `드림파크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인천지역에미칠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8천220억원, 부가가치 1조953억원, 고용창출 2만3천333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수도권매립지가 지역경제에 `효자' 역할을 함에 따라 주변 땅값도 덩달아 뛰어 1991∼2000년 땅값 평균증가율(개별공시지가 기준)이 직접영향권(매립지 반경 500m이내)은 69.9%, 간접영향권(매립지 반경 2㎞이내)은 57.5%로 비영향권 지역의 평균증가율 48.5%를 능가했다. 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는 "그동안 대표적인 님비(NIMBYㆍNot in My Backyard)시설로 꼽히던 쓰레기매립지도 과학적 폐기물 관리를 통한 주변환경 보전, 주변지역에대한 지속적인 투자 등으로 인해 앞으로는 서로 유치하려는 핌피(PIMFYㆍPlease in My Front Yard)시설로 바뀔 것"이라고 장담했다. (서울=연합뉴스) 문병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