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휴대폰 바가지' 없앨수 있을까

KT, 판매가 공개 '페어 프라이스' 도입 <BR>정부·제조사·他이통사 동참여부에 성패 달려<BR>"아직 얘기 오간게 없다" 삼성·LG등 입장표명 없어


KT가 야심차게 도입한 페어 프라이스(Fair priceㆍ공정 가격) 제도가 소비자와 이동통신업계에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의 지원이나 SK텔레콤ㆍLG유플러스 등 타 이동통신사, 삼성ㆍLG전자 등 제조사의 동참 여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표현명 KT 사장은 28일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들이 휴대전화를 구입하기 위해 대리점 몇 군데를 돌며 흥정하거나 바가지를 쓴 게 아닌지 불안해하는 일이 없어질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현재는 A대리점에서 수십만원에 팔리는 휴대전화가 B대리점에서는 '공짜폰', 혹은 버스 요금만큼 저렴한 '버스폰'으로 판매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똑같은 단말기가 구입 시기ㆍ장소에 따라 평균 5배의 가격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일종의 '정찰제'인 페어 프라이스 제도 하에서는 소비자들이 어느 대리점ㆍ쇼핑몰을 방문하더라도 수시로 KT가 고지하는 공정 가격대로 휴대전화ㆍ태블릿PC를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KT의 이 같은 계획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우선 이미 충분한 정보를 갖고 최저가 판매점을 찾아 휴대전화를 구입하던 소수의 소비자들은 불만을 가질 수도 있다. KT가 정하는 공정 가격이 온라인 쇼핑몰 등의 '최저가'보다 비쌀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판매자들이 공정가격을 지키지 않으면 페어 프라이스는 유명무실한 제도가 될 수도 있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를 잡기 위해 음성적으로 별도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경우다. 한 업계 관계자는 "KT가 지난 한 달 동안 페어 프라이스를 시범 실시했는데 몰래 현금 보조금을 소비자들에게 지급하는 판매자들이 있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판매자들끼리 눈치를 보다가 누군가 보조금을 많이 주기 시작하면 끝"라고 말했다. 관건은 정부ㆍ타 이동통신사ㆍ제조사 등의 협력 여부다. 특히 페어 프라이스가 시행되는데도 불구하고 제조사 장려금 때문에 판매점마다 가격이 달라지는 일을 막기 위해선 제조사의 협력이 필수다. 이동통신사의 보조금은 단말기 할인ㆍ요금 할인 등의 형식으로 소비자에게 고지되지만 제조사 장려금은 기본적으로 판매점에 지급되기 때문이다. 판매자가 이를 소비자 할인 혜택으로 제공할 수도, 자신의 마진으로 챙길 수도 있다. 표 사장은 "현재 제조사와 협의 중이며 일부 제조사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장려금 지급 체계가 불투명하다거나 국내와 해외 시장에서의 출고가가 다르다는 점으로 비판을 받아왔던 제조사들도 페어프라이스를 반길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제조사들이 단말기당 지급하는 보조금은 2000년대 초 2만~5만원에서 지난해 25만원 수준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 측은 "아직 얘기가 오간 게 없다"며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또 한 KT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아직 동참 의사가 없는 상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