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장국 정치' 탄력받나

與 文의장, 주도권 확보 겨냥 민생정치 본격화

열린우리당 문희상 신임 당 의장이 ‘국민의 속1을 확 풀어주는 해장국 정치’의 기치를 걸고 현장중심의 민생정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문 의장은 지난 3일 당선 후 첫 공식일정을 종로소방서 대원들과 해장국을 먹으면서 시작했다. 다음날인 4일 아침도 문 의장은 영등포시장 상인들과 해장국을 함께하며 상인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문 의장은 경선기간 내내 “배고픈 사람 배 부르게 하고, 우는 사람 눈물을 닦아 주는 것이 정치의 이유”라며 민생을 강조했다. 문 의장이 ‘해장국 정치’를 들고 나온 것은 두 가지 의도로 풀이된다. 우선 바닥 민심을 훑고 다님으로써 민생우선 정치의 당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국가보안법 등 3대 개혁입법 처리로 민생이 뒷전으로 밀려나는 상황을 막겠다는 의지다. 또 ‘해장국 정치’를 통해 대중적 지지기반을 확대함으로써 당 일각의 개혁 원칙론자들을 압박하기 위한 뜻으로도 읽힌다. 이번 당 의장 선거에서 드러났듯이 우리당 내에 실용 대 개혁의 대립구도가 분명히 존재한다. 실용진영의 문 의장이 개혁파를 통합해내지 못하거나 이들의 담론에 압도될 경우 내년 지방선거나 차기 대선에까지 내분상황을 안고 가는 셈이 된다. 특히 민주당과의 통합론, 개헌을 통한 정계 개편론 등 굵직한 이슈가 놓여 있는 상황에서 당내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쥐지 않고서는 정국을 이끌어가기 힘들다. ‘해장국 정치’의 성공 여부는 6일 개회하는 임시국회에서 가늠해 볼 수 있다. 국가보안법 등 3대 쟁점법안의 처리방향이 관건이다. 쟁점법안에 대한 야당과의 합의과정에서 원칙을 중시하는 개혁파의 반발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무마하면서 최대한 빨리 개혁입법을 마무리 짓는 것이 ‘해장국 정치’의 첫 관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30일 치러지는 재ㆍ보궐선거는 문희상 당 의장 체제의 두번째 관문이다. 국회의원 선거구 6곳 중 4곳 이상에서 승리해 과반의석을 회복할 경우 문 의장의 ‘해장국 정치’는 탄력을 받을 수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타격이 예상된다. 문 의장은 이번 주에는 취임 인사차 언론사와 야당을 방문해 국정운영의 협조를 구하고 오는 12일부터 성남 인력시장을 시작으로 ‘해장국 정치’ 일정을 재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