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서는 지난 60년대 이후 대규모 수용시설의 비인격적인 방법을 탈피하고 좀더 인간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탈시설화 운동이 일어났다.
더불어 보호받아야 할 사람들이 친숙한 지역사회 환경 속에서 정상적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상화 원칙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90년대에 들어오면서 기존 시설의 폐쇄적인 수용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탈시설화 및 지역사회 재활의 개념이 강조된 주거시설인 그룹홈 주거복지 프로그램이 도입됐다. 이에 따라 개인별 장애에 맞는 치료와 일상생활훈련 등을 통해 입주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해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주택에 소수의 인원들이 모여 살면서 일반인들과 다름없는 생활을 하기 때문에 이웃들이 거부감이나 반대의사를 나타내는 경우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오히려 입주자들에 대한 주민들의 긍정적인 수용태도로 인해 그룹홈을 돕고 이웃을 만들 수 있는 연대의식을 조성하게 되는 등 사회적 인식전환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지난해 도심빈곤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의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시세의 30%선으로 저렴하게 임대하는 다가구 매입임대 시범사업을 하면서 그중 26가구를 그룹홈으로 공급했다. 이곳에서 정신지체장애우 4~5명이 사회재활교사 1명과 함께 거주하며 자립의 꿈을 키워나가고 있다. 또한 일반주택을 전세로 얻어 그룹홈으로 활용하는 제도도 시행 중에 있다. 이를 계기로 선진국형 대안적 사회복지시설로서 평가받고 있는 그룹홈이 우리나라에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아직은 사회복지 관련자들의 아쉬운 목소리가 많다. 소그룹의 입주자들을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운영비용이 많이 든다. 그룹홈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이 더 많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앞으로 그룹홈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의 변두리에서 특수계층으로 소외되었던 이들을 이제 주거복지의 이름 아래 우리 곁의 이웃으로 끌어안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