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FPD 핵심장비 노광기 국산화

세계 첫 8세대급 디지털방식 연 6000억원 수입 대체 효과

TV·노트북 등에 쓰이는 평판디스플레이(FPD)를 만들 때 필수적인 장비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했던 노광기의 핵심 기술을 국내 기업과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 장비의 국산화로 연간 6,000억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국내 21개의 대·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지난 5년간의 연구 끝에 세계 최초로 디지털 방식의 8세대급 노광장비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노광기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장비로 포토마스크에 빛을 쪼여 유리기판에 회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장비다. 평판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드는 시간과 비용 가운데 노광기를 이용한 공정의 비중은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크다.

관련기사



이번 개발 사업에는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삼성전자·LG전자·코아시스템즈 등이 참여했으며 정부 출연금 212억원을 포함해 총 410억원이 투입됐다.

산업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노광기의 핵심 기술은 아날로그 방식의 포토마스크 대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보며 작업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필름카메라에서 디지털카메라로 진보한 것과 같이 기술적인 발달을 이뤘다"고 말했다.

노광기(8G급) 가격은 대당 200억∼300억원으로 우리나라의 수입규모는 연간 약 5억8,000만달러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증착기 등 디스플레이 제조의 5대 핵심 장비 가운데 유일하게 노광기를 국산화하지 못했다. 정부는 2∼3년 안에 디지털노광기의 국내 생산을 시작해 수입물량을 대체하고 수출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