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중앙아시아로 퍼지는 녹색한류] 몽골 사막화 방지 이어… 한국 산림기술 아랄해도 되살린다

산림청 40년 녹화기술 활용

몽골 룬솜 등 2개 지역 2016년까지 3,000㏊ 조림

사막화 방지로 황사 줄여

소금땅으로 변한 아랄해는 내년부터 3단계 생태복원 사업

한국 청소년들이 몽골 룬솜 지역을 찾아 몽골 청소년들과 함께 사막화 방지를 위해 나무를 정성스럽게 심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서쪽 125㎞에 위치한 터우아이막 룬솜 초원지대. 나무 한 그루 없어 삭막하기만 했던 이곳은 요즘 들어 나무들이 자라면서 숲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울란바토르 남쪽 580㎞에 있는 달란자드가드 지역도 최근 숲으로 한창 탈바꿈하고 있다.

한국이 황사의 발원지 몽골사막에 사막화방지 사업의 하나로 선진산림 기술을 적용해 조림을 실시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변화다. 앞으로 이 지역에 숲이 제 모습을 갖추게 되면 매년 한반도에 불청객으로 찾아오는 몽골발 황사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1일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선진 녹화기술이 몽골·중국·동남아에 이어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에까지 빠르게 진출하고 있다.

한국이 40여년 이상의 녹화사업 노하우와 기술력을 가장 먼저 해외에 활용한 것은 황사 발원지인 몽골의 사막화방지 사업. 동북아시아 최대 골칫거리 중 하나인 황사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인식 아래 한국과 중국·몽골이 뜻을 모았고 한국은 이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 민간단체까지 적극 참여하면서 상당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이 몽골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에 발을 디딘 것은 지난 2006년. 1990년대 중반 이후 황사 발생일수가 크게 늘면서 그동안 민간단체 중심으로 추진하던 황사피해 저감을 위한 사막화방지 사업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한·몽골 정부가 정부 차원의 산림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게 된 것이다.

한국과 몽골은 정상회담에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몽골 정부가 2005년부터 오는 2035년까지 추진하는 몽골 그린벨트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하고 그린벨트 조성사업 10개년 기본계획을 별도로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그린벨트사업단을 2007년 5월 설립하며 조림사업을 본격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룬솜과 달란자드가드 등 2개 지역 3,000㏊(1ha=1만㎡)에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을 실시할 계획으로 지난해 말까지 1,498㏊의 조림사업을 마쳤다. 한국은 조림사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룬솜과 달란자드가드에 각각 20㏊, 24㏊ 규모의 양묘장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기반시설 구축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조림기술교육센터 2개소도 가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건조기에 적합한 고랑식 조림기술을 개발, 적용한 결과 2008년 47%이던 활착률이 2009년 70%, 2012년 91%로 상승하며 조림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되고 있다.

산림청은 3,000㏊ 조림 목표량 달성을 위해 올해 조림면적을 400㏊로 확대한 데 이어 내년에는 500㏊로 늘릴 계획이다. 3년 이상 경과한 조림지는 몽골 정부에 관리를 넘겨 자체 녹화사업 실행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몽골에서의 성공적 사막화방지 사업은 최근 카자흐스탄과의 협력사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카자흐스탄이 죽어가는 아랄해를 살린다며 한국의 산림녹화 기술을 요청했고 한국이 이에 화답했다.

2013년 러시아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카자흐스탄은 한국 정부에 아랄해 유역 산림생태 복원사업 추진을 제안해온 뒤 6월 한·카자흐스탄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의 아랄해 유역 복원사업 참여를 확정 짓는 한·카자흐 산림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산림청은 아랄해 산림생태 복원사업을 3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우선 내년부터 2016년까지 2년 동안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산림생태 복원 대상지를 선정하고 생태복원·연수·공동연구를 기획한다. 현지 조림 적정 식생 선정을 위한 시험림과 양묘장도 조성, 운영한다.

2단계(2017~2022년)로 산림생태 복원사업을 본격 이행한다. 조림을 시행하는 한편 연 두 차례 활착률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교육훈련 및 전문가 파견 등 카자흐 사업실행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3단계(2023~2024년)로 안정적인 사업지 관리체계를 마련한다. 사업평가에 이어 생태복원지의 단계적 이관, 우즈베키스탄과의 공동사업 발굴 등을 추진한다.

이창재 산림청 해외자원협력관은 "녹화선진국으로 명성을 얻으면서 한국 산림기술에 대한 동남아 및 중앙아시아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며 "사막화방지 및 생태복원·조림 등 세계적 이슈에 대해 산림청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제관계를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