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혁신도시·기업도시를 가다] <2> 혁신도시 음성·진천

수용-주변지역 이웃갈등 심화<br>수용지역 "생존권 무시" 반발, 주변지역은 발전 기대감<br>주변 농지 평당 15만~20만원선 불구 매물은 없어<br>충북도 "公기관·기업 유치산·학·연혁신거점 삼을것"

충북 혁신도시 예정지인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접어드는 초입에 ‘혁신도시 유치 결사반대’를 주장하는 현수막들이 걸려있다.

충북 혁신도시 예정지인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접어드는 초입에 ‘혁신도시 유치 결사반대’를 주장하는 현수막들이 걸려있다.

충북 혁신도시 예정지인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접어드는 초입에 ‘혁신도시 유치 결사반대’를 주장하는 현수막들이 걸려있다.

“혁신은 고사허구 시골 사람덜이 다 망하게 생겼시유. 땅 팔아서 빚 갚아야 하는디 땅을 못 팔게 해놓으니 우짜란 거여….” 지난해 12월말 혁신도시의 ‘막차’에 올라탄 충북 음성ㆍ진천군 일대. 치열한 유치경쟁에서 승리한 뒤 축제 분위기에 들떠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예상은 현지의 싸늘한 공기를 접하는 순간 완전히 빗나가 버렸다. 음성군 대소면을 거쳐 혁신도시의 핵심지인 맹동면과 진천군 덕산면으로 접어드는 길목마다 나부끼는 현수막들은 불안하게 교차하는 현지 민심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었다. 한쪽에선 “생존권 무시하는 혁신도시 결사반대”를 외치고 건너편 현수막은 “혁신도시 유치 참여정부 정책의 열매”라고 떠드는 식이다. 혁신도시 유치를 위한 시ㆍ군간 지역갈등이 이제는 수용지역과 그 주변지역간의 이웃 갈등으로 옮겨붙은 것이다. 정재택 덕산면장은 “수십년간 정든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수용지역 주민들로선 혁신도시를 반길 수가 없다”며 “술렁이는 민심을 달래는 게 앞으로의 큰 문제”라고 전했다. 일부는 연기ㆍ공주 행정도시의 보상사례를 들고 와 “보상이 어느 정도나 될 것 같냐”고 묻지만 그다지 희망적이지 못한 답변에 실망감만 안고 돌아선다. 맹동면 관계자도 “주변지역 주민들은 발전 기대감에 좋아하지만 수용지역 일부에선 자기 마을을 혁신도시에서 빼달라고까지 하며 반발한다”고 말했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는 보다 현실적인 진단을 내놓는다. 음성군 맹동면의 한 중개업자는 “이곳 수박이 유명해 억대 매출을 올리는 농가들도 있는데 보상금으로는 주변에서 농사지을 대체토지도 못 구하고 그렇다고 취직할 직장도 없다”며 “주변지역에서도 투기지역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다 묶어놓는 바람에 정작 땅을 팔아야 할 사람들도 못팔아서 피해를 입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혁신도시 예정지와 붙어있는 덕산면 신척ㆍ한천ㆍ합목리 등의 도로변 농지는 평당 15만~20만원을 불렀지만 혁신도시 선정 이후 매물이 자취를 감췄다. 행정도시의 대토 수혜지로 거론되는 동안 땅값이 많이 올랐지만 땅주인들은 혁신도시 호재로 더 오른다는 기대감에 내놨던 땅을 모두 거둬들였다. 물론 사려는 사람도 거의 없다. 예정지에서 5km 정도 떨어진 대소면은 평당 9만원에 도로변 농지 급매물이 나왔는데도 팔리질 않는다. 외지인들이 간혹 매수 문의를 해 오지만 규제 때문에 거래가 어렵다. 충북도는 이달 중 혁신도시를 건설할 사업시행자를 선정하기로 하고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놓고 저울질 중이다. 공공기관 뿐 아니라 다수의 기업을 유치해 산ㆍ학ㆍ연이 어우러지는 혁신의 거점으로 삼겠다는 게 충북도의 밑그림이다. 인근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창과학산업단지 등의 사례를 볼 때 혁신도시에 대한 수요가 넘칠 것으로 보고 도시 면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용국 충북도 균형발전팀장은 “기업도시로 선정된 충주와 진천ㆍ음성 혁신도시가 서로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광역화된 도시계획을 세울 것”이라며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할 때 수용 주민들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