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대車 노사 대화 물꼬 텄다

1일부터 지부차원 임금협상 재개 합의

7월2일부터로 예정된 금속노조와 현대자동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의 민주노총 총파업 참여에 대해 노동부가 ‘명백한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는 등 노ㆍ사ㆍ정 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 노사가 지부 차원의 올 임금협상을 재개하기로 30일 전격 합의했다. 현대차 노사는 그동안 7차례의 대각선 교섭을 실시했으나 ‘산별교섭이 우선’이라는 금속노조의 요구에 발목이 잡혀 정작 지부 차원의 임금협상은 한발짝도 진척시키지 못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 노조가 7월 총파업 일정을 일단 접고 회사 측과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30일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윤여철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사장과 윤해모 현대차지부장 등 노사 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각선 교섭을 갖고 7월1일부터 매일 현대차 노사 간의 근로조건 개선안 등을 다루는 지부교섭 실무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차 노조는 특히 앞으로 진행될 실무교섭에서 양측 실무협상팀이 밤샘교섭을 하더라도 노사 간 접점을 찾도록 적극 노력한다는 뜻을 밝혀 향후 파업보다는 교섭에 무게를 둘 것임을 시사했다. 1일부터 진행될 지부교섭 실무협상에는 노사 대표가 각각 4~5명씩이 참가해 그동안 중앙교섭안 협상 여부를 놓고 진행되지 못했던 현대차 노사 간의 임금 지부교섭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 노조가 이날 지부교섭에 전격 나서기로 결정한 것은 이번 금속노조 파업이 사실상 정치파업 성격이라는 비판여론에 직면한데다 향후 중앙교섭을 빌미로 한 실익 없는 파업에 계속 발목이 잡힐 경우 노조 내부의 반발 등 심각한 역풍을 우려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해에도 6월 말 민주노총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파업에 동참했다가 노조원들의 반발과 겉잡을 수 없는 비판여론이 일자 회사와의 임단협 파업은 유보한 뒤 집중 교섭을 실시, 결국 무분규 타결을 이룬 바 있다. 한편 노동부는 이날 금속노조와 산하 현대차 지부가 7월2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동참하기로 한 것을 ‘명백한 불법 파업’으로 규정했다. 노동부는 전날 금속노조가 ‘쇠고기 재협상’과 ‘산별중앙교섭 쟁취’ 등을 내걸고 민노총의 총파업 당일에 2시간 부분파업을 벌이기로 한 데 대해 “임금이나 근로조건 등과 상관없기 때문에 목적상 파업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특히 현대차는 목적의 정당성 여부와 별도로 교섭을 제대로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명백한 불법 파업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