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SK 100만주 매도주체는 누구?

최태원 SK 회장의 이사 재신임 문제를 둘러싸고 SK와 소버린자산운용이 주주총회에서 표대결을 벌인 지 열흘만에 SK 주식 100만주가 자전거래돼 매도 주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분께 메릴린치창구에서 모건스탠리창구로 SK 주식 100만주가 대량 매매됐다. 매매 주체가 모두 외국인으로 알려지면서 `소버린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돌기도 했으나 전문가들은 소버린이 아직 `철수'할 시점은 아니라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우선 SK 주식 1천902만8천주(14.85%)를 보유중인 소버린이 100만주를 매각함으로써 얻게되는 이득보다 손실이 훨씬 크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만약 이날 매도가 대주주인 소버린이 `팔자'에 나선 신호탄이라면 앞으로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를 불러일으켜 주가 하락은 불보듯 해지고, 소버린 역시 적지않은 손실을 기록하게 된다. 즉, 이날 매도분을 제외한 잔여주 1천800만여주에 대한 리스크를 감안할 때 소버린을 매도 주체로 간주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이다. 현대증권 박대용 애널리스트는 "소버린이 물량을 떨어내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될 경우 주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소버린을 매도주체로 보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대신경제연구소 안상희 애널리스트는 "소버린이 팔려고 했다면 100만주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라며 "소버린을 제외한 외국인들간 거래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G투자증권 이을수 애널리스트도 "소버린이 대량 매각하면 수급 불안 요인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버린의 매각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일축했다. 이날 대량 자전거래가 이뤄진 매수.도 창구가 소버린으로 연결시키기에는 다소거리가 있다는 관측도 있다. 소버린은 도이치증권 창구를 매수도 창구로 이용해 왔다고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또한 석유정제업황 호조로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가능한 상황에서 소버린이 굳이 지금 물량을 대거 내놓을 필요가 없다고 분석했다. 또한 소버린이 생각하는 SK의 적정주가도 현 주가보다 훨씬 높다는 지적이다. 미래에셋증권 김진우 애널리스트는 "고유가에 따라 석유정제업황이 호조를 나타내고 있다"면서 "SK의 올해 실적도 지난해처럼 견조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현대증권 박 애널리스트는 "소버린이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했던 가장 큰 이유는 주가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서 였다"고 말했고, 대신경제연구소 안 애널리스트는 "그들의 목표주가는 8만∼9만원대라는 얘기가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소버린이 2년 연속 최태원 회장의 이사 선임을 저지하는 데 실패함에 따라 인수.합병(M&A) 무산에 따른 차익실현 시점을 고려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삼성증권 오현석 연구위원은 "주총에서 패한 뒤 인수.합병(M&A)이 물거품이 됐고, 주가에 대한 영향력도 크게 감소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익실현을 위해 물량을 돌렸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SK는 오전 11시55분 현재 지난 주말보다 4.40% 뛴 6만1천700원에 거래되며,지난 11일 주총 이후 계속된 약세에서 벗어났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