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8·31 부동산대책] 송파 신도시 주변 표정

평당 3천만원 부르는데 "누가 사겠나" 거래 실종<br>중개업소 문의 전화 빗발<br>계약 중개는 엄두도 못내<br>"판교보다 나은곳" 급부상

“평당 3,000만원을 부르는데 누가 사겠습니까?” 서울 송파구 거여동 현대아파트 3단지 인근 현대공인 관계자는 “최근 2~3일간 올라도 너무 무섭게 올라 매도자에게도, 매수자에게도 말 붙이기조차 어렵다”고 최근 분위기를 설명하면서 “이 지역 중개업소로서 집값이 오른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지만 거여ㆍ마천동은 마치 정부가 부추기고 시장은 예민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라며 혀를 찼다. 그가 중개하는 현대3단지는 며칠 전까지만 해도 34평형이 평당 1,000만원 수준에서 거래됐던 아파트다. 송파 신도시 소식이 알려진 송파구 거여ㆍ마천동이 ‘8ㆍ31대책’ 발표 이후 갈 곳을 잃은 시중 부동자금의 뜨거운 눈길을 받고 있다. 최근 뉴타운 개발에다 신도시 지정까지 겹경사를 맞으면서 기대감도 한껏 부풀어오른 분위기다. 이 일대 부동산 중개업소는 빗발치는 전화에 정신을 차리지 못하거나 일부 업소는 아예 시달림을 견디다 못해 전화를 받지 않는다. 매도자들은 나와 있던 매물도 거둬드린 채 턱없이 높은 가격을 부르고 있으며 매수자들은 예상보다 너무 높은 가격에 선뜻 거래에 나서진 못하는 형국이다. 마천동 M공인 관계자는“양쪽의 인식차가 너무 커서 거래 공백이 생기는 것은 침체에 빠진 다른 지역과 어찌 보면 마찬가지인 셈”이라고 말했다. 거여동 도시개발아파트 인근 모공인 관계자도 “현재 매물이 나와 있지만 이제 상승세가 시작했는데 나중에 싼값에 팔아치웠다고 무슨 원망을 들을지 몰라 계약을 중개할 엄두도 못 내는 실정”이라며 “도개공 아파트는 소형평수 위주라 실거주보다는 투자목적을 가진 소유자가 많아 지금 매수자가 나와도 현재 가격에는 아파트를 처분하려는 매도자가 별로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거여동 일대 뉴타운 지역의 10평 미만 지분 값은 평당 2,500만~2,600만원선에 육박하고 있으며 그나마 매물이 별로 없어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다. 거여2동 J공인 관계자는 “뉴타운 지정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분 값이 많이 올라 10평 미만은 2,500만원까지 올랐고 큰 평형은 2,000만원까지 값이 뛰었다”고 전했다. 본래 송파구 거여동 일대는 송파구 내에서도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했던 지역. 최근 국민은행 시세(8월31일 현재)를 봐도 재건축 호재를 업은 ▦잠실동(2,444만원) ▦가락동(2,340만원) ▦신천동(2,050만원) 등은 평당 2,000만원을 훌쩍 넘기는 반면 ▦거여동(1,106만원) ▦마천동(909만원) 등은 1,000만원 안팎에 머물러 그 격차가 크다. 그러나 이번 대책으로 재건축 단지는 직격탄을 맞아 가격이 꺾인 반면 거여ㆍ마천동은 천혜의 입지를 가졌다는 판교보다 입지가 좋은 미니 신도시로서 ‘신데델라’처럼 부상하게 됐다. 시장에서는 일찌감치 정부의 신도시 추진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변지역 부동산값이 들썩거리자 ‘제2의 판교 광풍’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송파구가 이미 주택투기지역ㆍ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묶여 있는 만큼 폭등사태가 다시 나타나진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개발예정지역에 대해선 철저한 투기단속을 벌이겠다고 엄포를 놓은 터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 발표는 아직 확정된 계획이 아니라 추진되는 과정에서 변할 수 있으며 일례로 우리는 김포 신도시의 460만평 개발 계획이 100만평으로 줄어든 것을 본 적이 있다”며 “부처협의를 거쳐 그린벨트, 군사용지 문제 등이 해결되는 추이에 따라 투자에도 신중히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