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총체적 전환 시급한 구제역 대책

구제역 재난이 환경재앙으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ㆍ강원ㆍ충북 지역의 살처분 가축 매몰지의 65%가 수도권 2,500만명의 식수원인 한강유역에 집중된데다 금강ㆍ낙동강 유역의 경우도 매몰지의 상당수가 상수원 오염 우려지역이어서 식수오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제역 자체도 문제지만 살처분 가축의 주먹구구식 매몰에 따른 환경재앙이 현실로 닥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지난 15일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매몰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종합대책을 내놓았으나 사후약방문 격이라는 지적이다. 구제역 발생 80일을 넘기면서 살처분 가축만도 330만마리에 달하고 피해액은 2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초동대처를 잘못해 사상최악의 가축재난을 초래한 데 이어 살처분 가축의 매몰작업 역시 일정한 기준도 없이 무차별로 이뤄져 심각한 환경재앙에 직면했다는 것은 구체적인 대책이 총체적으로 부실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잘못하면 지난 1997년 390만마리의 매몰에 따른 2차 환경오염으로 수십조원의 피해를 보고 축산업의 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진 대만의 전례를 되풀이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매몰지가 상수원보호구역 밖이라도 침출수가 도착하는 곳은 결국 하천이라는 점에서 상수원 오염은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가 매몰지 4,632곳을 전수 조사해 하천과 가깝고 경사지에 위치한 곳 등에 오는 4월까지 침출수 유출상황을 경고하는 ‘오염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한 것은 사정이 심각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구제역 재난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재앙이 되지 않도록 매몰지 관리대책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앞으로 구제역 발생은 상시적이 될 공산이 크다. 구제역 발생국들에 인접해 있는데다 여행객 등이 많아 방역대책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백신접종 정례화 등 구제역 대책의 획기적인 전환과 함께 살처분 가축의 매몰정책도 영국처럼 소각정책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구제역 재난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피해에 이어 식수오염 등 환경재앙까지 우려되는 최악의 상황을 하루빨리 종식시킬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