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 분양시장 '꽁꽁'

투자수요 위축… 청약률 '0' 단지 줄이어<br>동시분양 혜택도 사라져 중소업체 이중고

수도권 분양시장이 갈수록 얼어붙고 있다. 8ㆍ31 부동산 종합대책 이후 주택 업체들이 분양물량을 대거 내년으로 미뤄 물량도 많지 않은데다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투자 수요가 극도로 위축돼 3순위까지 단 한명의 청약자도 찾아오지 않은 채 청약접수가 마감된 단지도 나오고 있다. ◇청약률 ‘0’ 단지 속출= 1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동시분양 폐지 이후 처음 개별 분양된 중랑구 중화동 ‘청광플러스원’은 단 한 명의 청약자도 찾아오지 않아 47가구 모두 선착순 분양으로 넘어갔다. 분양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고 대출도 규제되다 보니 수요자들이 적극적이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평택시 비전동 신일유토빌도 27가구 모집에 3순위 접수까지 단 한 명도 청약하지 않아 모든 물량이 미달된 채 청약을 끝내고 선착순 분양 중이다. 군포시 당동 KCC 2차는 32평형 36가구 모집에 3순위까지 단 한 명만 청약 접수했다. 영등포구 대림동 한솔 솔파크 역시 저조한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현재 선착순 분양을 진행하고 있다. 한솔건설 관계자는 “워낙 규제도 심해지고 경기도 좋지 않다 보니 청약률이 예상보다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8.31 대책 이후 대출 제한과 양도세 등 세금 강화로 인해 개발호재를 갖추거나 가격 경쟁력이 있지 않은 단지는 청약률이 저조할 수 밖에 없다”며 “수도권은 동탄 신도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저조한 청약률에 계약률도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시분양 폐지 여파 중소업체 ‘혹한’= 서울 동시분양 폐지 이후 개별 분양으로 전환됨에 따라 중소 업체들이 분양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다. 동시분양이 유지될 때만해도 한꺼번에 입주자 모집공고와 청약 접수 등을 진행해 비용이나 광고효과 면에서 혜택을 보는 면이 있었지만 개별분양으로 전환된 이후 이 같은 혜택을 기대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대형업체의 경우 청약 경쟁률을 숨기기 위해 일부러 모델하우스에서 청약 접수하는 경우가 많지만 중소 업체들은 청약률을 조금이라도 높이려고 은행에 청약접수를 대행 시키려 해도 정작 은행측에서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청광플러스원 분양 관계자는 “겨울철을 감안, 청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금융기관을 통해 청약접수를 받으려 했지만 금융 기관들이 ‘한 단지만 청약접수를 대행하는 것은 비용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거절해 어쩔 수 없어 모델하우스에서 접수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은행 관계자는 “우리로서는 청약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청약 접수를 거부한 일은 없다”며 “다만 평소 우리 은행과 거래가 없거나 가구 수가 지나치게 적으면 비용 면에서 곤란한 측면이 없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