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도체 빅딜 파국은 막아야

정부는 LG의 이같은 반발에 대해 『ADL의 평가결과는 차질없이 그대로 이행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빅딜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고 경고성 메시지를 보냈다. 어제(28일) 열린 LG반도체 채권금융단회의는 정부의 이같은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금융단회의는 통합 경영주체가 미뤄진데 대한 책임을 LG측에 돌리고 1차적으로 신규 여신중단을 결정했다. 정부가 직접개입을 피하고 금융단을 통한 LG 옥죄기에 나선 것이다.사실 반도체 통합은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과 더불어 가장 논란의 대상이 돼 온 부문이다. 세계의 반도체시장이 장기불황에서 벗어나 호황기에 접어든 시점에서 무리한 통합이 가져올 수 있는 역시너지 효과, 동반부실화 의 가능성 등이 그동안 모두 거론됐던 문제점들이다. 그러나 두 회사의 부채가 18조원이 넘는데다 이들 회사를 그대로 둘 경우 연간 3,000억~5,000억원에 달하는 제품개발비가 업체별로 중복 투자되는 등 국제경쟁력이 우려되고 있다. 각자 홀로서기는 커녕 불황이 닥칠 경우 이들 회사의 부채가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이 이번 빅딜의 주요 배경이다. 어떻든 반도체를 포함한 5대그룹 7개업종의 빅딜은 조정과정에서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대통령과의 약속이며 국민과의 약속이다. 이같은 관점에서 볼때 LG의 반발은 이해는 가지만 여느면 감정을 지나치게 앞세우지 않았나 싶다. 금융단회의는 1차적으로 신규 여신중단을 결정했지만 2차적으로 2조5,000억원에 달하는 단기여신의 회수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LG가 금융제재에 얼마나 버틸 수 있을는지 의문이다. 벌써 증시에서는 LG 계열사 주식이 떨어지는 추세다. 정부도 파국을 막기 위해 전경련이 적극 나서줄 것을 바라는 눈치다. 전경련이 재계의 이익집단이라는 점에서 정부보다는 모양새도 좋다. 타협에 따라서는 훨씬 빨리 풀릴 수도 있다. 경영주체의 지분율 조정에서부터 제3의 빅딜 등 갖가지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이번 빅딜로 일부 그룹의 경제력 집중도 문제되고 있다. 반도체 통합은 이뤄져야 한다. 반도체 통합 없이는 지금까지의 빅딜은 용두사미나 다름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