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7월 19일] 북한이 공동조사에 응해야 하는 이유

고 박광자씨 피격사건 경위 파악을 위해 금강산에 갔다 돌아온 윤만준 현대아산 사장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의문은 좀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의혹을 풀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북한이 우리 정부의 현장조사 등 남북 합동조사에 응하는 것이며 이는 북한 스스로를 위한 길이기도 하다. 윤 사장은 호텔의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과 CCTV를 확인한 결과 박씨의 호텔 출발시각이 당초 알려졌던 것보다 12분50초 빨랐으며 이동거리도 3.3㎞가 아니라 2.4㎞였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50대 여성인 박씨가 어떻게 20분 만에 3.3㎞나 움직일 수 있느냐는 의문점은 어느 정도 해소된 셈이다. 또 아직 어둠이 완전히 가시지 않은 시간이라는 점에서 경계근무 중인 북한군 초병의 과잉대응과 예기치 않은 상황에 놀란 박씨의 당황한 행동이 얽혀 일어난 사건일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초병이 박씨를 발견한 지점, 발견 전후의 상황, 피격지점 및 사격횟수, 사망시간 등은 북측이 처음 밝힌 것과 다른데다 역시 모두 북한군의 일방적 설명에 따른 것이어서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초병이 정지명령을 세 차례나 내렸으며 추격한 뒤 사격을 했다지만 사실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 사격횟수만 해도 1발 경고사격 후 3발 조준사격에 2발 적중이라고 했지만 당초의 3발이라는 설명과 다른데다 우리 관광객의 2발 증언과도 다르다. 또 처음에 1㎞라고 했던 사격거리도 우리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부검에서는 상당히 가까운 거리였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왔다. 의문점을 푸는 방법은 남북이 공동조사를 통해 진상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조사 결과 우발적 사건으로 드러나면 그에 걸맞은 조치를 취하면 된다. 북한이 공동조사를 끝내 받아들이지 않으면 민간 관광객을 의도적으로 사살하고 사건을 은폐하려 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그럴 경우 북한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인식이 악화될 수밖에 없어 경제적 지원 등 남북교류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게 뻔하다. 또 국제적으로도 테러지원국 오명을 가진 북한의 이미지는 더욱 나빠질 것이다. 북한은 더 이상 시간을 끌지 말고 공동조사에 응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