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분양가 상승압력 커진다

발코니 확장·땅값 상승·기반시설부담금 등 영향<br>거품논란 뜨거워 터무니 없는 인상은 쉽지않을듯

땅값 상승과 발코니 확장 등에 따라 내년에는 민간 아파트를 중심으로 분양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발코니 확장, 땅값 급등 등으로 주택건설업체들의 아파트 분양가격 상승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건설업계가 내년 수도권 등 대도시권의 민간 아파트를 중심으로 분양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에서 아파트 분양가 거품 논란이 뜨겁고 분양시장도 크게 위축된 상황이어서 주택업계의 터무니없는 분양가 인상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31일 건설교통부와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는 엄격해진 주택건설 기준과 발코니 확장, 땅값 급등, 철근 등 자재값 상승, 마감재 고급화 선호 경향으로 건축비 부담이 크게 늘어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분양시장 침체에 따른 고육지책인 중도금 무이자 혜택 부여도 주택업체에는 평당 15만원 정도의 비용상승 요인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 중 기반시설부담금제가 도입되면 서울 강남의 경우 평당 최고 150만원까지 분양가 인상요인이 발생, 가격 인상폭이 평당 150만~2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주택건설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내년 아파트 분양가의 일부 인상요인이 있지만 과도한 상승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공공택지는 원가연동제가 적용돼 오히려 주변 분양가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이 되는데다 기반시설부담금은 주변지역의 생활여건 개선으로 이어져 입주자가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발코니 확장=주택업체가 발코니 확장을 주도하면 철거비용도 없고 대량주문으로 20~30%의 비용절감이 가능해 현재 인테리어업체를 이용, 발코니를 확장하는 데 드는 비용인 평당 70만~100만원보다는 줄어들지만 비용 증가분은 고스란히 입주자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B건설사는 공사비용이 평당 50만원 안팎이라고 가정할 때 32평 아파트의 경우 약 8평을 확장하면 400만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반시설부담금=국회에 계류 중인 기반시설법안이 원안대로 확정돼 내년 3월부터 시행될 경우 기반시설부담금은 그대로 분양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200㎡ 이상 건물 신ㆍ증축분에 부과되는 기반시설부담금은 신규주택ㆍ상가ㆍ오피스빌딩ㆍ재건축ㆍ재개발 등 모든 건축행위에 적용되며 원단위 비용과 건축 연면적, 민간 부담 부과요율 등을 감안해 산정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땅값이 비싼 수도권 도심지역에서 공급되는 아파트의 분양가는 평당 100만~150만원가량 높아져 30평형의 경우 3,000만~4,500만원의 추가 비용이 청약자 몫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