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이 그리고 있는 산은금융지주의 민영화 그림은 선(先)기업공개(IPO)다. 이전과는 구도가 좀 바뀌었다.
기존의 산은 민영화는 우리금융과 같은 대형 금융기관을 인수한 뒤 '기업공개→지분매각'의 방식이었다. 산은의 취약점인 개인수신기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금융매각과 산은 민영화를 한꺼번에 해결할 카드이기도 했다.
하지만 우리금융 인수합병(M&A)이 물 건너 간 뒤 방향이 바뀌었다. 먼저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을 한다는 것이다. 물론 M&A의 길은 터놓았다. 더 높은 가치를 받기 위해서라면 당연한 수순이다. 산업지주 지분을 농협에 넘기는 것도 기업공개를 선행할 경우 산은 주식이 유동화 가능한 자산으로 바뀌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로 부상하고 있다.
민영화의 단계적 추진은 정부가 세운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도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산은금융 지분 10%를 매각해 올해 9,000억원을 회수하고 오는 2014년까지 단계적인 지분 매각으로 각각 2조6,000억원, 6조6,000억원의 회수방침을 정했다. 우리금융 인수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최대한 높인 뒤 제 값을 받으려 했던 정부이지만 M&A 무산 뒤 방향을 바꿔 기업공개를 먼저 카드로 제시한 셈이다.
문제는 정부 계획대로 시장이 뒷받침할 수 있느냐다. 산은금융이 갖고 있는 정책적 기능과 자산가치 평가문제, 은행주가 부진 등의 벽을 넘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병건 동부증권 애널리스트는 "연내 상장이 쉬운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은행주가 전반적으로 저평가돼 있는데 상장을 하면 가격문제가 생기고 산은이 가진 정책적 기능 또한 배제할 수 없어 이를 어떻게 정리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산은의 강점인 투자은행(IB) 부문의 보유자산에 대한 평가 문제도 상장 추진 전에 해결해야 할 난제인데 해답을 찾기가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