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모래대란 대비책 세워야"

KMI, 수입선 다변화·비축제 도입등 제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0일 국내 바닷모래 채취를 둘러싸고 갈등이 빚어짐에 따라 모래대란이 예상된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KMI는 이날 발표한 ‘모래 수입은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연안지역에서의 모래 채취가 중단됐으며 북한이나 중국 등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도 쉽지 않다”며 “모래 수급 불균형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입 활성화 방안 등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전체 모래 수요량 1억1,300만㎥중 4,000만㎥가 바다에서 조달될 예정이며 이중 2,800만㎥는 옹진군ㆍ태안군 등 연안해역에서, 나머지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각각 공급될 계획이다. 그러나 옹진군ㆍ태안군 등에서는 지역민의 반발로 인해 1,500만㎥를 채취한 뒤 채취작업이 중단된 상태이며 EEZ에서의 채취도 해양의 무분별한 개발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의 부족한 바닷모래는 중국이나 북한에서 들여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격이 20% 이상 비싼데다 체제문제, 환경규제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수입에는 한계가 있다며 모래 수입선 다변화ㆍ모래비축제도 도입ㆍ바닷모래의 국가전략물자 분류 등의 대책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