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지자체 '신의주 특구' 대응 본격화

전용공단·투자설명회등 한국기업 잡기 나서최근 신의주 특구개발 추진으로 북한 진출을 추진하는 국내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의 주요 도시들이 한국기업을 위한 전용공단 설립 또는 투자유치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한국기업 잡기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 산둥(山東)성 칭따오(靑島)시는 최근 해안선 개발과 신항만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에 필요한 투자를 유치하고 한국기업의 현지 입주를 추진키 위해 이달 중순부터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한다. 18일 안산공단, 22일 서울에서 개최될 이번 설명회에서는 컴퓨터, 통신 등 첨단 IT산업과 관광, 해운 등의 분야에서 한국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착공 예정인 연간 1,000만톤 규모의 정유시설과 240만톤 규모의 조선소는 한국기업에 중점적으로 발주하거나 합작계약을 맺을 계획을 세워놓았다. 또 100억위엔(약 1조5,000억원) 규모의 칭따오 서쪽 해안선 개발을 위한 투자유치도 서두르고 있다. 산둥성 랴싱(嶢城)시도 한국기업 유치와 투자유치를 위해 오는 15일부터 24일까지 시장 등 정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한 투자사절단을 파견할 계획이다. 아직 구체적인 투자유치 계획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서울, 부산, 대구 등의 지자체와 중소기업 공단 등을 방문하고 유치에 따른 세부적인 설명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의주 경제특구와 인접해 있는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시도 최근 45만평 규모의 한국기업 IT전용공단을 조성키로 하고 최근 한국의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의향서(MOU)를 체결했다. 이를 위해 선양시는 설비 이전과 공장 가동에 필요한 금융지원, 세제혜택 등을 부여하고 용지분양에서도 혜택을 주기로 했다. 선양시는 내년 초쯤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적인 투자유치계획을 발표하고 한국에서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남경(南京)시처럼 투자유치를 위해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중국 지자체 투자사절단도 2개 이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족 출신으로 칭따오시 라오샨구에서 입찰을 담당하고 있는 김우범씨는 "북한 신의주 특구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중국의 지자체에서 한국기업 유치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우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이를 막기 위해 자치정부마다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협중앙회의 한 관계자도 "최근 들어 한국기업 또는 투자를 유치하겠다고 한국에 들어오는 중국 지자체가 일주일에 두세 곳은 된다"며 "기협과 접촉하는 곳도 이달 들어서만 세 곳 가량 된다"고 밝혔다. 송영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