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슈퍼' 말라리아 나타날 수 있다"

임채승 고려대 의대 교수, 삼일열 말라리아 유전자 분석<br>"원숭이에서 변이 일으켜 독성이 강한 변종 출현 가능"

국내에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가 원숭이몸 안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훨씬 독성이 강한 신종 전염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의대 임채승(42) 교수는 삼일열 말라리아의 유전자를 분석해 이 질병이브라질에서 발견된 원숭이 말라리아와 유전자 상으로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 임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한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5일자에 게재될 예정이다. 임 교수는 "원숭이 말라리아는 사람의 삼일열 말라리아가 원숭이에게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며 "이 말라리아가 원숭이 체내 변이를 통해 예전에 없던 강력한 변종이 돼 인간에게 다시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삼일열 말라리아는 삼일 간격으로 오한이 반복돼 붙은 이름으로 국내에서 나타나는 말라리아는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이 말라리아는 열대 지방에서 나타나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비해 독성이 약해 환자가 사망하는 일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 교수는 "이번 유전자 분석은 삼일열 말라리아 및 그 변종을 예방하는 백신개발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서만 퍼지므로 신종이 나타나도 조류독감처럼 전 세계적 전염병(pandemic)이 될 위험성은 적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