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수익률 지속성 우수펀드 찾기

최근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지난해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던 주식형 펀드들이 고전하고 있다. 지난해 좋은 성적을 냈다고 올해도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투자를 염두에 둔 펀드 투자자들은 현재 수익률이 좋은 펀드 뿐 아니라 지금까지 꾸준하게 좋은 성적을 거둔 펀드를 투자대상으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 한국펀드평가는 지난 1분기 말을 기준으로 4개 분기(2005년2분기부터 2006년1분기까지) 동안 국내시장에 투자하는 150개 주식형펀드를 조사한 결과 꾸준하게 수익률 랭킹 상위 50%내에 드는 성적을 낸 펀드가 단지 7개에 불과한 것으로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들 펀드는 대신의 `대신꿈나무 적립주식1', 한국의 `삼성그룹적립식주식1', CJ의 `CJ행복만들기주식1' 등이다. 또 CJ의 `빅&세이프 프리타겟주식1', 피델리티코리아의 `FK-적립식코리아주식형자신탁'과 `FK-코리아주식형자신탁(E), 칸서스의 `칸서스하베스트적립식주식1' 등이다. 한국펀드평가 이동수 연구원은 "아무리 훌륭한 전략을 가지고 펀드매니저가 펀드를 운용해도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면서 "꾸준한 성적을 낸 이들 7개 펀드는 작년 증시 상승장과 올해초 조정장에서 모두 선전한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입하고자 하는 펀드가 상승장과 하락장에서 어떤 수익률을 냈는지를확인하면 보다 좋은 펀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고수익과 고위험을 기대하는 투자상품은 수익률 지속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수익률 지속성 우수펀드이다. ▲ 대신꿈나무 적립주식1= 2004년7월 설정된 펀드로 설정액은 87억원. 3월말을 기준으로 지난 3개월 수익률은 -1.05%였으며 6개월 수익률은 25.49%였다. 1년 수익률은 61.77%. 이 펀드의 수익률은 지난해 2분기 조사대상중 27위를 기록했으며 4분기에는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로 대형성장주에 투자하는 스타일로 전기전자업종 투자비중이 높은 편이다. ▲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1=2004년11월 설정된 펀드로 설정액은 2천445억원이다. 하락장이었던 지난 3개월 수익률은 1.64%로 선전했으며 6개월과 1년 수익률은 각각 20.54%, 59.29%였다. 이 펀드는 지난해 3분기 6위였으며 올 1분기에는 5위를 차지했다. 업종별 경쟁력이 높은 삼성그룹 계열사 주식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는 대형성장주펀드다. ▲CJ행복만들기주식1=2004년10월 설정된 펀드로 설정액은 2천230억원이다. 지난3개월 수익률은 -0.70%로 비교적 선방했다.지난해 2분기 15위를 기록하는 등 10위권과 20위권에서 꾸준한 성적을 냈다. 대형성장주 펀드로 2-3년 후 가치실현을 목표로 안정적인 장기투자를 지향하는운용철학을 갖고 있다. ▲ 빅&세이프 프리타겟주식1= 2003년2월에 설정됐으나 설정액은 91억원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다. 지난 3개월 수익률은 -1.38%이고 6개월 수익률도 18.32%이지만 1년 수익률은 54.62%로 괜찮은 편이다. 지난해 상.중반기 20위권내의 비교적 괜찮은 수익을 냈으나 올 하반기부터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 FK-적립식코리아주식형자신탁과 FK-주식형자신탁(E)= 2005년3월 설정된 펀드로 설정액은 각각 370억원과 2천196억원. 지난 3개월 수익률은 -1.76%와 -1.75% 정도였으며 1년 수익률도 54.62%와 54.50%였다. 지난해 하반기는 20위권내였으나 올 1분기는 45위와 44위로 성적이 저조한 편이다. ▲ 칸서스하베스트적립식주식1= 2004년10월 설정됐으며 설정액은 8천822억원이다. 순위는 30위권과 40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개월 수익률은-1.82%였으며 1년 수익률은 48.16%였다. 최초 투자금액과 가입기간에 따라 판매보수에 차이를 두는 멀티클래스 펀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