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구·경북 연구원 내년 운영 초비상

경북도의회, 지원예산 30억 전액 삭감

대구ㆍ경북의 '싱크 탱크' 역할을 하고 있는 대구경북연구원에 대한 내년도 경북도의 예산 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연구원 운영에 초비상이 걸렸다. 경북도의회는 최근 2011년도 경북도 예산안을 처리하면서 정책기획관실에서 제출한 대경연구원 운영지원비 30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출연, 대구시장과 경북지사가 함께 이사장을 맡고 있는 대경연구원의 한해 예산은 128억여원. 도의회의 예산 삭감에 따라 당장 23% 정도의 운영비가 모자라게 됐다. 도의회는 예산 삭감 이유에 대해 대경연구원의 활동이 대구에 집중된 점, 행정사무감사를 거부해 예산사용 내역을 알 수 없는 점 등을 들고 있다. 이에 대해 대경연구원은 행정사무감사 거부는 출연기금이 25%를 넘지 않기 때문이며 굳이 감사를 하고 싶다면 대구시처럼 행정사무협의라는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일부에서는 이번 대경연구원 지원 예산 삭감이 오는 2014년 경북도청의 안동 이전을 앞두고 '경북연구원' 별도 설립을 위한 전초작업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경북도가 50억원, 23개 시ㆍ군이 각 1억씩을 출연해 별도 연구원을 설립하면 된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제시되고 있다. 박병훈 도의회 예결산특위 위원장은 "수십억원의 도민 혈세가 지원되는 만큼 감시기능이 마련돼야 한다는 상임위 뜻을 존중, 예산을 삭감했다"며 "내년 6월 추경 때까지 연구원 예산사용과 관련한 보고 및 협의 체계 등 다양한 대안을 모색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철 대경연구원 원장은 "칼자루를 쥔 도의회가 그렇게 결정했다면 따를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대구경북이 경제통합 등 지금껏 공동 발전을 모색해 왔는데 그런 상생 분위기가 훼손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대경연구원은 대구ㆍ경북의 지역개발 과제 및 정책대안을 조사ㆍ연구하기 위해 지난 1991년 6월 출범했으며 전국 광역지자체 출연 연구원중 2개 지자체가 뭉친 곳은 대경연구원이 유일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