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이집트 사태 따른 충격 최소화해야

30년 집권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일주일째 진행되고 있는 이집트의 반정부시위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회교권에서는 처음으로 분출된 민주화 요구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른 회교국으로 확산될 경우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충격도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번 이집트 사태의 경우 정권교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집트 반정부시위가 유혈사태로 번지자 미국이 무바라크 대통령의 적절한 조치를 요구하며 자국민 소개에 나섰고 우리 정부와 현대ㆍ기아차 등 35개 현지진출 기업들도 교민과 주재원들의 철수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사태가 이처럼 악화되자 지난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이 전날보다 4% 이상 올랐다. 안전자산 선호의 영향으로 같은 날 2월물 금값은 1.7% 상승한 반면 미국 다우존스지수가 1.39% 하락했다. 국내증시도 31일 코스피지수가 1.8% 떨어지며 이틀째 하락세로 마감했고 원ㆍ달러 환율도 7원 이상 오르는 등 국내외 금융시장에 이집트 리스크 파장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중동지역 석유 의존도가 약 82%인 우리로서는 이집트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불안이 가장 큰 걱정이다. 이집트는 원유수송로인 수에즈운하를 통해 세계 석유수송량의 약 2%를 관장하고 있다. 게다가 이번 사태가 중동 산유국으로 확산되고 자칫 반서방 정권이 들어설 경우 국제원유시장에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또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이집트는 우리 수출이 연간 22억달러에 달하는 중동권의 네 번째 수출시장이다 정부는 물론 기업들도 이번 이집트 사태를 예의주시하면서 유가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사태가 이집트에서 끝나지 않고 중동 산유국으로 확산될 경우에 대비해 원유수입선 전환을 비롯한 긴급 대응전략을 미리 수립해둘 필요가 있다. 연초부터 물가급등과 구제역 파동이 겹치면서 경제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집트 사태라는 외부 악재가 겹칠 경우 경제적 충격이 예상 외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